학술논문
플립 러닝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2
- 영문명
-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홍기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2권 제4호, 41~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 러닝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방법과 매체’ 과목을 수강하는 D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12주 24차시에 걸친 플립 러닝을 실시하고 사전, 사후 자기주도학습력검사와 학습동기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플립 러닝은 피험자들이 ‘수업방법과 매체’ 과목의 핵심내용을 온라인으로 사전 동영상시청을 한 후, 오프라인으로 시청 내용에 관해 탐구하고 토론하는 등의 학생활동중심 수업이었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럽 러닝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요인 중에 주로 인지적 영역에서 효과적이었다. 둘째, 플립 러닝은 대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과목과 여러 학년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력의 동기적, 행동적 하위요인의 효과와 학습동기 효과를 추가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wenty-four lessons using the flipped learning have been conducted for twelve weeks to twenty-nine college students of 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flippe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In particular, the cognitive factor, one of the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Second, the flippe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have to be conducted on various subjects and students of various grades in order to additionally verify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sub-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learning mo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