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EAM기반 사진찍기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Effect of Extended Activities with Taking Pictures on Facilitating Children’s Creativity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광수 김현정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2권 제4호, 23~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기반 사진찍기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유아 4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활용한 STEAM기반 사진찍기 확장활동 프로그램은 연구자와 동료교사 4명이 협력해서 개발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STEAM기반 사진찍기 확장활동을 수행하고, 통제집단의 유아들은 누리과정에 따른 학습활동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4주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STEAM기반 사진찍기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창의성의 하위 영역에 따라 달랐다. 창의성을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으로 구분할 때, STEAM기반 사진찍기 확장활동은 창의적 능력의 일부 하위 하위영역과 창의성 성향의 일부 하위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제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extended activities with taking pictu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We developed a program to implemented the idea of extended activities with
taking pictures for child education, which included 8 sessions of lesson. To gain the research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orty-seven 5-year old children at a kindergarten from a medium sized city in Korea.
The experimental design employed in this study was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engaged in our program for 4 weeks, while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suggested by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ren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 on some sub-domains of creativity on children, which include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traits. More specifically, this program improved children’s flexibility, imagination, flexibility of language creative thinking skill, continuation and connectivity of drawing creative thinking skill, curiosity, independency, tenacity on task of creative traits. We suggested possible further studies based on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