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범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15
- 영문명
- Structure Relationships among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Undergraduat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소연희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2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생 335명을 대상으로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첫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으로 구성된 두 개의 가설모형들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창의성에 대한 성장신념과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학습참여 중 행동참여와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분석결과,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학습참여를 매개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형의 적합도가 높았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변화 신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Z=9.38, p<.01). 이와 같은 결과들은 예비중등교사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증진을 위해서, 교수자는 창의성에 대한 성장신념을 학습자가 가질 수 있도록 촉진해야 하며,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창의적인 수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o investigate hypothetical mod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The participants were 335 undergraduat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lev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measured. I analyzed the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creative mindset, student engag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problem solving
revealed a high correlation with growth in creative mindset and also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behavioral student engagement. Secon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a creative mindse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blem solving mediated by student engagement at the same time. Third, the mediate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between creative mindse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significant(z=9.38, p<.01). These findings recommend one way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growth in creative mindset, it is to encourage student engagement in college classes when designing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