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료로 본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몇몇 문제에 대하여

이용수 43

영문명
On Some Issues of Kim Cheon-taek(金天澤)’s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as Seen through the Materials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조해숙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7호, 7~4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728년 김천택에 의해 편찬된 현존 最古의 가집 『청구영언』을 자료적 측면에서 살피고 몇 가지 특징적 국면을 밝힘으로써 18세기 초중반 국문시가집의 존재 양상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점검하고자 했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은 필사본 원본 미공개 상태로, 1948년 조선진서간행회(朝鮮珍書刊行會)에서 간행한 활판본이 『진본(珍本) 청구영언』으로 약칭되어 오랫동안 연구의 중심 자료가 되어 왔다. 한글박물관이 자료 원본을 구입해 2017년 영인편 및 주해편을 내놓음으로써 편찬자의 이름을 단 자료가 된 후 학계에서 관심과 반향이 커지고 있다. 김천택편 『청구영언』은 체재와 분류 방식이 잘 정비되어 있고 수록 작품과 작가 선택에 엄정성과 정확성을 기한 점에서, 최초 가집이라기엔 너무나 완비된 자료임이 그간 연구들에서 밝혀졌다. 또 전체 서발문 및 특정 작품 발문을 그대로 옮겨오거나, 연(작)시조의 경우 전편(全篇)을 수록한다든지, 말미에 상당한 비중의 사설시조를 싣는 등 가창을 위한 대본용 가집들과 분명히 다른 특징을 보인다. 이처럼 『청구영언』은 편찬자이자 기획자인 김천택이 오랜 시간 동안 정성들여 매만진 자료이기에, 이와 영향 관계에 놓인 『해동가요』처럼 완성 전후에 유사 이본이 생산,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본 논의에서 김천택의 시가집 편찬 의도와 『청구영언』 편찬 정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주목한 특징적 국면은 다음 몇 가지이다. 체재를 통해 본 작품 배열 방식, 수록된 서발문의 특징, ‘여항육인’ 항목의 설정 과정, 수록 작품의 일면을 통해 본 내용 특성 등등. 고찰의 결과, 김천택이 『청구영언』을 엮으면서 당대 시조의 음악적 양상과 변화를 반영하고자 했고, 작가의 고증 및 원전 문헌에 대한 검증을 거쳤으며, 시조 음악과 당대 문화 내의 역할에 따라 항목 순서를 정하고, 노래의 해석과 향유 상황을 고려해 작가와 작품을 배치한 다음, 직접 작품 발문을 쓰거나 전체 서발문을 청해 붙임으로써, 사대부 문집에 근사한 완정한 시가집 생산으로 나아가고자 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단번에 이루어질 수 없었다. 자료의 수집과 정리는 물론, 작품에 대한 분석과 작가 검증, 유사 작품 간 대조를 통한 선택과 확정, 이에 따른 항목의 재배열 등 고심과 고민을 거듭하며 마지막 순간까지 조정한 결과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김천택 편 『청구영언』과의 연계 가능성을 세밀히 검토한 『청구영언』(박순호본)에 대한 논의를 비롯해, 18세기 초중반 가집의 존재 양상을 고찰한 최근 논의들에 각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은 내적 완성도나 그것이 생산된 외적 조건을 감안할 때 그 초고본 내지 선행본이 존재했을 여지가 대단히 크며, 최종 편찬까지의 점진적 단계를 상정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자료적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은 편찬 의식면에서 19세기 가창용 대본 자료들과 거리가 먼, 시가집 혹은 ‘시조집’이라는 명칭에 어울리는 자료이다. 따라서 『청구영언』(박순호본) 혹은 몇 개의 가집이 김천택 편 『청구영언』 이전 혹은 동시에 출현했다 하더라도 그 ‘최초’로서의 가치나 의미가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18세기 초기 음악과 문학에 정통한 중인 가객 김천택이 당대 노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엄정한 의식, 일관된 체재의 시가집을 완성한 점은 분명 시가사적으로 최초 ‘사건’에 해당한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을 최초라기엔 너무나 완결된 시조집으로 인정하면서도 다른 가집들과 선후를 바꾸기 어려웠던 것은, 가집의 출현과 향유를 우리 연구자들의 시각에서 단선적으로 계열화해 온 초창기 연구 관습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탓인지 모른다. 이제 새로운 18세기 초중반 가집들이 발견되어 자료적 고찰을 통해 그 형성 과정을 객관적으로 그려보게 된 만큼, 자료들의 친연성과 영향 관계에 편견 없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될 때, 우리는 18세기부터 편찬자의 관심사에 따라 성격이 다른 시가집이 거듭 생산되기도 하고, 계승 혹은 변주에 의한 다양한 가집들이 동시적으로 편찬, 향유되기도 한 사실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eeks to reassess the possibility that different kind of Sijo anthology existed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by examining from a material perspective and by shedding light on several distinctive aspects to the oldest extant anthology of Sijo called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compiled by Kim Cheon-taek(金天澤) in 1728. The original handwritten version of the Kim Cheon-taek’s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had remained unpublished, so the type printed edition published by the 朝鮮珍書刊行會 in 1948 wa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珍本(original edition of) Cheongguyeongeon” and had been a central research material for a long time. However, the manuscript is attracting even more attention and interest amongst researchers after the National Hangeul Museum purchased the original materials and released the photocopied and the annotated edition in 2017. The Kim Cheon-taek’s Cheongguyeongeon is considered to be highly polished, far exceeding standard for one’s first collection in terms of well-organized structure, meticulousness in the selection of works and authors. Moreover, the compilation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collections for singing, in the sense that it included: preface and editorial notes to a work exactly the save as original, entire series for serial work, vast amount of Saseol-sijo(사설시조) at the end. Thus, it can be suggested that, just like Haedonggayo(海東歌謠), Cheongguyeongeon had similar versions produced before and after its completion, because the author put so much effort in it. Few distinctive aspect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o grasp the intentions behind Kim Cheon-taek’s compilation and the circumstances behind it, Few of those are: the arrangement of works based on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prefaces included, the process of setting the “Yeohang-yukin(閭巷六人)” categ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revealed through selected work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Kim Cheon-taek aimed to reflect the musical aspect and changes in sijo of the time, conducted author verification and source validation, established the order of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ole of sijo music and culture, arranged authors and works considering the ways of interpretation and enjoyment of songs, and writing preface by himself or asking it for the authors, thereby strove for a complete production of a sijo anthology resembling the tradition of nobleman’s poetry compilations. However, this process couldn’t be achieved overnight. It required endless efforts and considerations, including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 analysis of works and author verification, selection and finalization based on comparisons with similar wor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special attention to recent discussions on Cheongguyeongeon(Park Sun-ho edition), which carefull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ts connection with the Kim Cheon-taek edition, as well as recent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nature of sijo collections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Considering the internal completeness and the potential existence of an original or earlier versions, it seems it is more natural to assume a gradual progression towards the final compilation. The Kim Cheon-taek edition of Cheongguyeongeon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theatrical scripts for singing in the 19th century, which are more commonly referred to as “gajip”. The compil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term “Sijojip(Sijo anthology)”. Therefore, even if Cheongguyeongeon(Park Sun-ho edition) or a few other collections appeared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the Kim Cheon-taek edition, it does not diminish their significance or meaning as the “first” of its kind. The completion of the compilation can clearly be considered as a first ’event’ of the history of sijo, because this middle-class men was able to complete such a consistency structured collection of sijo out of his pride in singing culture and his extraordinary versatility.

목차

Ⅰ. 머리말
Ⅱ.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체재와 몇 가지 문제
Ⅲ. 맺음말 : 김천택과 󰡔청구영언󰡕, 그 이전 혹은 그 이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해숙. (2023).자료로 본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몇몇 문제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 7-44

MLA

조해숙. "자료로 본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몇몇 문제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2023): 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