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가정 양립지원제도 시행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 분석
이용수 31
- 영문명
-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the Implementation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원용천 홍소정 송영수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4권 제3호, 85~1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일·가정 양립지원제도 시행 여부에 따른 잠재계층을 식별하고 잠재계층에 속할 확률과 결과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사업체패널조사(Workplace Panel Survey) 8차년도 자료(WPS 2019) 중 근로자 수 5인 이상 기업체 2,440개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정 양립지원제도 시행에 따른 잠재계층은 (1)일·가정 양립지원 최상 집단, (2)일·가정 양립지원 기본 집단, (3)일·가정 양립지원 최하 집단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 중 여성 근로자 비율과 인사부서의전략적 역할은 각 잠재계층에 속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잠재계층별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참여 수준과 1인당 매출액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사부서의 전략적역할과 조직 내 일·가정 양립지원제도의 실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in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and the effects of influential and outcome factors. Using a latent class analysis, we analyzed 2,440 companies from the 8th Workplace Panel Survey (WPS 2019) colle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We identified three latent classes: 1) High level of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2) Basic level of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and 3) Low level of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latent classes, we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female workers and the role of the human resource department were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organization’s communi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sales per capita differed for each latent class. This research concluded by discuss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expanding the role of the human resource department in the organization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 초등학교 입학 관련 그림책의 내용분석: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5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른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차이 분석: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