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이용수 28
- 영문명
- Exploring Ways to Foster a Sense of School Community in Distance Education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강은영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5권 제1호, 185~2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원격교육에서 학생들이 학교공동체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안 및 제도적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원격교육에서 학생들은 교사, 학생, 학습내용으로 구성된 학습공동체 안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경험을 형성하고 학교공동체와 연결될 수 있다.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대면수업 환경보다 적극적인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첫째, 구성원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커뮤니티 형성이 필요하다.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학생들은 학습자 상호 간 협력적 상호작용을 강화하여 내적 학습 동기를 형성하고, 학교공동체에 소속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협력적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학습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학생들이 학교공동체를 경험하고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 간의 관계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개별 학생들의 동등한 참여기회 보장, 학습 과정과 결과를 협력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수업 설계, 성취 수준을 자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루브릭 제시 등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와 학생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며 학생은 학습
과정에서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 교사는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선택과 실행을 신뢰하고 촉진해주며 지지하는 지원자가 되어야 한다. 제도적 개선방안으로는 「원격교육법」의 정의 규정 개선을 제안하였다. 원격교육 환경에서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참여하고 협력적으로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원격교육은 교사와 학생 간 그리고 동료 학생 상호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관점이 정의 규정에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were explored in which students can cultivate a sense of school community in dista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distance education, students can form learning experiences and be connected to the school community through interaction within a learning community composed of teachers, students, and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cultivate a sense of school community in distance education, an active educational approach is required rather than a face-to-face class environ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form a community to foster a sense of membership. Based on the community, students can strengthen cooperativ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to form internal learning motivation and feel that they belong to the school community.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promotes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s required. 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school communit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experience relationships, it is required to ensure equal opportunities for individual student based on the community, design classes that can collaboratively reflect on the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and present rubric that can autonomously check achievement levels. Third,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students should be the subject of decision-making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eachers should be volunteers who trust, promote, and support learners' choices and execution in this process.
As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it was suggested that the defini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 Act」 needs to be improved, with the view that distance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fellow students so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and continue learning cooperatively in a remote education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학교공동체의식의 의의와 형성 요인
Ⅲ. 원격교육의 특성과 상호작용
Ⅳ. 학교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한 원격교육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 다문화 교양 교과 수강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차이 분석
-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기악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