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이용수 159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Rationality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Speech in Classroom Instruction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황현석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5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만족하기 위한 타당성 요구(사실성, 정당성, 진실성, 이해가능성)를 기반으로 교실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 현장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그것을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Cukier, W., Ngwenyama, O., Bauer, R., & Middleton, C. (2009)의 타당성 분석 틀을 바탕으로 타당성 요구 관련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초안 형태로 개발된 측정 도구는 교사 5인, 교수 1인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 타당성을 검토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이렇게 수정, 보완된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군에 속해있는 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행하였다. 자료를 활용하여 네 가지 타당성 요구를 기반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각 영역별 개별문항에 대한 요인부하량 및 모형 적합도를 점검하고 요인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유사한 설문과의 상관관계를 통한 타당도 분석을 실행하여 최종적인 측정 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측정 도구는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가 얼마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만족하는지 학생 입장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최초 개발된 것으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munication rationality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utterance that can be easi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consideration of classroom situations based on Habermas's validity requirement to satisfy communication rationality. To this end, preliminary questions related to feasibility require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easibility analysis framework of Cukier and Ngwenyama et al. (2008).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e form of a draf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review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through a group of experts of 5 teachers and 1 professor. Using this modified and supplemented measurement tool, the test was conducted on 158 students belonging to the 5th
and 6th grade groups of elementary schoo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our validity demands using data to check factor load and model suitability for individual items in each area, factor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through correlation with similar questio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final measurement tool item. The measurement tool prepared through this study was first developed to measure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how much the teacher's utterance satisfies communication rationality in classroom classes, and its meaning can be foun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도구 설계
Ⅳ. 연구방법
Ⅴ. 연구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 다문화 교양 교과 수강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차이 분석
-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기악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