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이용수 264
-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n Distance Education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서순식 양희원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5권 제1호, 141~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도래로 원격수업은 이제 일상이 되었고, 교육대학 재학생인 예비교사에게는 원격교육과 관련된 역량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초등교원 양성대학 재학생들이 코로나19 이후 대학 수업에서 경험한 원격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실태, 요구사항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22명의 예비교원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측정도구는 원격수업과 관련된 경험을 묻는 일련의 질문과 원격수업설계 역량과 관련된 문항 등으로 총 85문항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주로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은 비대면 원격수업과 대면 교실수업이 병행한 양태였고, 원격수업의 경우 교수가 탑재한 동영상 형태의 강의자료를 정해진 수강시간 내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둘째, 예비교원들은 하급 과정에서 의문이 생길 때 교수에게 학습내용에 대해 질문을 하는 경우보다 본인 스스로, 또는 동료 학생들과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육콘텐츠 개발 및 제작역량은 예비교원이 갖추어야 하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시급한 역량으로 조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 educational practice, and requirements of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d after COVID-19 b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 total of 122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total of 85 questions were used including a series of questions about experiences of distance education and distance education design competenc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ainly used in universities was a combination of non-face-to-face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classroom education, and in the case of distance education, the method of individually learning video-type lecture materials uploaded by professors within a fixed class period was mainly used. Second, when questions arisen in the learning process,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solve the problem by themselves or in collaboration with fellow pre-service teachers, and it is not common to ask professors questions about the learning content. Third, the competency of developing and producing digital educational courseware was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competency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possess.
목차
Ⅰ. 서론
Ⅱ. 원격수업과 교사 역량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 다문화 교양 교과 수강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차이 분석
-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기악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