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37
- 영문명
-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Self-effica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송승원 양수진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5권 제1호, 161~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 활동을 매개로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수학 상위반과 하위반의 수준별 수업 참여가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수준별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을 경향점수 기반으로 매칭하고, 일반화선형모형(GL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랩으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상위반의 수준별 수업의 참여는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상위반과는 달리 수학 하위반의 수준별 수업 참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수학상위반의 수준별 수업의 참여는 교사의 수업 활동을 매개로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 하위반의 경우 수준별 수업 참여 여부가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수업 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Using the data from KELS2005, we carried out propensity score matching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bility grouping classes and who did not. GLM(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statistically tested by bootstrapping. According to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self-efficacy is positive for high-level students in a math clas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is positive for high-level students in a math class. However, although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in a math class of low level, ability grouping has a negative effect on low-leve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 다문화 교양 교과 수강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차이 분석
-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기악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