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이용수 153
- 영문명
- A Longitudinal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a Change in Aggression of a Woma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박미경 이순자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5권 제1호, 21~5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격성이 심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 여성(김가영)에게 7년(22∼29세) 동안 다중중재방법을 적용한 종단적 사례연구로 일상생활 관련 다중중재가 공격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관찰일지, 보육일지, 사진, 녹음, 동영상자료, 부모와의 대화 수첩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다중중재를 적용하기 전 가영이는 가학적인 공격성이 매우 심각하여 주변 사람들이 접촉을 기피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처음 4년 동안 가영이와 일상생활을 동고동락하면서 따라다니기, 자연환경을 제공하면서 과한 행동수정하기 등의 다중중재와 함께 공격적 행동의 긴장감에 대한 이완적 중재와 사회적 모델링을 지원하였다. 5년째부터는 활동보조원의 역할도 활용하면서 만남의 횟수를 점차 줄여가며 간헐적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영이는 처음 보였던 무차별적인 공격성이 줄고 상동행동도 점차 사라지면서 이성을 지닌 정상인의 행동으로 조금씩 변화되었다. 그리고 한 장기간 만나는 시간을 통해 공격성 감소와 초보적인 형태인 사회적 관계의 일반화 유지가 가능해졌다. 또한 이 여성의 행동 변화에는 부모, 활동보조원 및 주변인들의 대상자의 현행 나이에 맞는 이해와 배려, 상황에 적절한 중재를 하는 것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폐스팩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은 일상적 생활 관련 다중중재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사례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자폐성장애유아 교육 및 바람직한 사회적 환경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s a longitudinal case study that applied the multiple intervention method for 7 years (from 22 to 29 years old) to the aggressive adult woman (Ga-yeong)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objective was to clarify whether the multiple intervention related to daily life has an effect on reducing aggression. To this end,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uch as observation notes, nursery journals, photos, recording, motion pictures, and pocket notebook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fore the application of multiple interventions, Ga-yeong was very serious in sadistic aggression.
Thus, people around her avoided a contact.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 applied multiple interventions in order of going after, correcting excessive behavior, attempting a social relationship, and expanding the type & scope of social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Gayeong showed aggression again when the intervention is not proper, but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persistence of the right mediator. A long time to meet led to being able to observe it came to be available for reducing aggression and maintaining the generalization of a social relationship, which is a rudimentary form. In addition, this woman’s behavioral change appeared to continuously require the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in line with the subject’s present age and the intervention suitable for a situation by parents, activity assistant and surrounding people. This leads to suggesting that the aggression in the woma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ay be altered depending on the multiple intervention relevant to everyday life. The implication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case we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and desirable soci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론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 다문화 교양 교과 수강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차이 분석
-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기악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