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이용수 311
- 영문명
- Study of Out-of-School Youth Issues through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전은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5권 제1호, 121~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부가 시・도교육감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책임을 명시한 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 시점에서, 현재 정부에서 학교 밖 청소년에게 주로 제공하는 지원 외에 제도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지원 분야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학교 밖 청소년을 주제어로 한 뉴스 기사 1,799건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인 LDA를 기반으로 한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여 언론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토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정고시 및 대입지원’, ‘직업체험훈련’, ‘건강검진 및 전용공간 지원’, ‘문화예술 프로그램’, ‘공립 대안학교 등 지원정책 수립’, ‘창업・자립 지원’, ‘후원금 기부’, ‘교육재난지원금 지급’, ‘교육수당지급 등 교육청 지원’, ‘지역사회 상호 재능기부’ 등 총 10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 중 현 정부에서 주로 지원 중인 분야를 제외하면, ‘문화예술 프로그램’, ‘공립 대안학교’, ‘교육재난지원금 및 교육수당 지급’, ‘지역사회 재능기부’ 등에 관한 내용이 새로운 토픽으로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토픽에 대해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제도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at support areas that can be extended institutionally besides the support currently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out-of-school youth. To this end,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LDA, a text mining technique, was conducted on 1,799 news articles with out-of-school youth as the theme from 2018 to 2022 to analyze topics mainly covered by the media. As a result, ‘GED and college entrance support’, ‘Job experience training’, ‘Health checkup and dedicated space support’, ‘Cultural arts program’, ‘Public alternative school support policy establishment’, ‘Start-up and self-reliance support’, ‘Sponsor money Donation’, ‘Education disaster support fund’, ‘Education allowance payment’, ‘Mutual talent donation’ a total of 10 topics were derived. Among them, excluding the fields mainly supported by the current government, new topics such as ‘culture and arts programs’, ‘public alternative schools’, ‘educational disaster subsidies and payment of education allowances’, and ‘community talent donation’ have emerged as new top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new topics that have emerged were proposed to be reflected in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system, and additional research to be done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 다문화 교양 교과 수강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차이 분석
-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기악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