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77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on Students' Outcom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희 김진희 최유림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1호, 293~3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 변화에 어떤 교육적 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나아가 학교의 사회자본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 격차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4차년도(2015년)~6차년도(2017년)자료를 활용하여 3-수준 다층 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 참여와 지역사회 연계 활동이 중학교 1학년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참여가 높은 학교일수록 학업성취 수준이 높았으며, 학교가 지역사회와 밀접히 연계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일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내 교사 간 협력은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사회와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변화되는 학업성취의 수준을 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의 감소폭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은 가정배경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만큼 효과가 크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장을 위한 교육 주체의 교육과정 참여 및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affect changes in students'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increasing social capital in schools reduced educational gaps due to family background. The three-level growth curve model was applied using the 4th through 6th Gyeonggi Education Panel (2015−2017).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involvement and community engage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of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s with a higher degree of parental involvement tended t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schools with a close connection to their communiti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eir counterparts.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growth. Students in schools with a close connection to their communities were also likel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inhibit self-efficacy deterioration compared to those in schools with a poor connection. However, such cooperation did not lead to a reduction in the educational gap due to family background. In addition, the cooperation of teach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outcomes, either.
The concluding section discusses how to improve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i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um and how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family backgroun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 자율성과 교사 몰입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포레스트와 SHAP 적용
- 초등과학교육교사연구공동체의 모순과 변화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을 기반으로
- 서울 지역 중학생의 역량 발달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COVID-19로부터의 경험을 중심으로
-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초·중·고 학생들의 일반교과 사교육 참여 유형 분석: 2011년, 2016년, 2021년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용 자기평가 수행 척도(K-SaPS) 타당화
- 연구에서 모형의 분류와 검정모형의 개발
- 종단자료 분석을 위한 모형 기반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의 확장
-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잠재전이분석에서의 종단적 측정동일성 검증: 교사-학생 관계 유형 변화의 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 초등학교 입학 관련 그림책의 내용분석: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5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른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차이 분석: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