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COVID-19로부터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248
-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in Online Class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Using Narrative Materials: Focusing on Experience from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진 강수민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1호, 155~1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이전부터 혼란기를 지나, 2022년 연구 진행시점인 현재까지 모두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온라인 수업의 인식이 무엇으로 변하였는지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OVID-19 이전에는 온라인 수업이 온라인 공간 또는 매체를 활용한 학습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COVID-19 상황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불가피하게 온라인 수업을 교수법으로 수용함에 따라 충동적 변화를 경험했다. 이 변화는 세 가지 양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학습 경로를 명확히 따라올 수 있는 활동 설계, 온라인 수업의 한계 보완을 위한 교실 수업의 효율적 활용 방안 모색,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 경로를 이탈하는 학생들에 대한 문제 발생이었다. 셋째, COVID-19 이전과 비교했을 때 현재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실 수업의 교수법 중 하나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확장을 갖게 되었다. 이 변화는 두 가지 양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온라인’ 수업이 아닌, 온라인 ‘수업’을 교수법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식 생성,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에듀테크 적용 방법에 관한 고민 촉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초등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수업이 갖는 의미와 미래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연구의 제언사항으로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lecte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from before COVID-19 through the chaotic period to the present, at the time of research in 2022,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used narrative materials to find out what their perception of online class has changed As a result, first, the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before COVID-19 was recognized as a learning method using an online space or media. Second, in the context of COVID-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impulsive changes due to the inevitability of accepting online classes as a teaching method. This part could be specifically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Designing activities that can clearly follow the learning path in online classes, searching for efficient use of classroom classe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and problems for students who deviate from the learning path of online classes. Third, compared to before COVID-19,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expanded awareness of online classes a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of classroom instruction. This part could also be classified in two ways: Creating awareness to use online ‘classes’ as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online’ classes, and provoking concerns about how to apply Edutech suitable for online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the meaning of online classes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were summarized as suggestions for the study.
목차
I.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 자율성과 교사 몰입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포레스트와 SHAP 적용
- 초등과학교육교사연구공동체의 모순과 변화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을 기반으로
- 서울 지역 중학생의 역량 발달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COVID-19로부터의 경험을 중심으로
-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초·중·고 학생들의 일반교과 사교육 참여 유형 분석: 2011년, 2016년, 2021년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용 자기평가 수행 척도(K-SaPS) 타당화
- 연구에서 모형의 분류와 검정모형의 개발
- 종단자료 분석을 위한 모형 기반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의 확장
-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잠재전이분석에서의 종단적 측정동일성 검증: 교사-학생 관계 유형 변화의 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