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 지역 중학생의 역량 발달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331
- 영문명
- Classifying the Competency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Analyzing Determina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나우열 권연하 안영은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1호, 121~15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지, 사회·정서, 참여자치의 측면에서 역량 실태를 다면적으로 평가하고, 중학생의 균형 있는 역량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인지·사회·정서·참여자치 역량 발달의 현황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학생종단연구(SELSS) 2020』 1차년도 중학교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총 97개 학교에 소속된 서울 지역 중학생 3,993명을 대상으로 다층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지역 중학생의 인지·사회·정서·참여자치 역량에 따른 하위유형을 분류한 결과, ‘전 역량 부족’, ‘인지역량 부족’, ‘전 역량 우수’, ‘사회·정서역량 부족(인지역량 우수)’과 같은 4가지의 이질적인 잠재계층이 도출되었다. 둘째,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 수업태도, 교우관계, 사회경제적지위(SES)와 같은 학생 특성이 역량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교사분위기, Wee클래스 운영 여부, 비대면수업 비율 등은 인지역량 및 사회·정서역량 측면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인지·사회·정서·참여자치 역량의 균형 있는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assified the latent classes of cognitive, social-emotional, and autonomy competencie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student and school factors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balanced competencies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3,993 middle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first-year middle school panel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s 2020 were used and 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mpetencies. Second, the student factors such as gender, class attitude, friendship and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the classification the classes. Third, the school factors such teacher atmosphere, the operation of the WeeClass, and the ratio of onlin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were suggeste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 자율성과 교사 몰입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포레스트와 SHAP 적용
- 초등과학교육교사연구공동체의 모순과 변화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을 기반으로
- 서울 지역 중학생의 역량 발달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COVID-19로부터의 경험을 중심으로
-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초·중·고 학생들의 일반교과 사교육 참여 유형 분석: 2011년, 2016년, 2021년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용 자기평가 수행 척도(K-SaPS) 타당화
- 연구에서 모형의 분류와 검정모형의 개발
- 종단자료 분석을 위한 모형 기반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의 확장
-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잠재전이분석에서의 종단적 측정동일성 검증: 교사-학생 관계 유형 변화의 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