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에서 모형의 분류와 검정모형의 개발
이용수 100
- 영문명
-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Models and the Development of Tested Mode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순달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1호, 239~2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모형을 분류하고, 다양한 모형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모형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모형의 분류 준거를 분석하고, 새로운 모형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형이란, “연구자의 이론, 철학, 신념 등을 반영한 것으로 논리적으로 제안된 그 무엇이다”라고 정의하였다. 여러 학문 분야의 모형 분류 준거가 다양하고, 대부분 이분화된 준거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도 검정가능성을 모형의 분류 준거로 하여 검정모형과 비검정모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준거에 의하면 검정모형 제안자들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신이 개발한 모형을 검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비검정모형은 엄격한 검정이 이루어지 않고 제안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비검정모형들은 개발과정의 일반적인 절차를 따르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검정모형 개발 5단계를 제안하였다. 물론 연구자가 제안한 검정 모형 개발 5단계는 하나의 ‘’비검정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검정모형과 비검정 모형의 개발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비검정모형이 아닌, 검정모형은 논리적인 절차에 따라 개발되고 검정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classify models widely used in research and to understand various models. To this end, the concept of the model was redefin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models were analyzed, and new model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 model is defined as “something that is logically proposed as a reflection of the researcher's theory, philosophy, beliefs, etc.”. There are various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models in many academic fields, but most of them use the dichotomous method. Accordingly, this researcher classified all models into a tested model and the non-tested model based on the test feasibility. The tested model refers to a model tested by the proposers using data. On the other side, nnn-tested model is a model proposed without rigorous testing. Tested models require rigorous development procedures, but non-tested models do not require such procedures. For this reason, five stages of test model development were proposed. Of course, the 5 stages of test model development proposed by the researcher can be said to be a ‘non-testing model’. Anyone can develop a model whether it is a test model or a non-test model, but a test model, not a non-test model, needs to be developed and tested strictly.
목차
Ⅰ. 서 론
Ⅱ. 모형의 개념과 분류
Ⅲ. 비검정모형 개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 자율성과 교사 몰입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포레스트와 SHAP 적용
- 초등과학교육교사연구공동체의 모순과 변화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을 기반으로
- 서울 지역 중학생의 역량 발달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COVID-19로부터의 경험을 중심으로
-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초·중·고 학생들의 일반교과 사교육 참여 유형 분석: 2011년, 2016년, 2021년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용 자기평가 수행 척도(K-SaPS) 타당화
- 연구에서 모형의 분류와 검정모형의 개발
- 종단자료 분석을 위한 모형 기반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의 확장
-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잠재전이분석에서의 종단적 측정동일성 검증: 교사-학생 관계 유형 변화의 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