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서비스 이용자의 양육스트레스 항상성 변화 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73
- 영문명
- Parenting stress homeostasi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arent counseling service usersQualitative study on change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장영화(Young Hwa, Jang)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2권 제2호, 189~2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서비스 이용자의 양육스트레스의 항상성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이며 연구참여자는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서비스를 경험한 발달장애인 부모 7명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과정의 스트레스를 구체적 진술을 토대로 질적연구인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서비스를 이용 중인 장애인 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종일 돌봄에 의한 체력의 한계에 이르는 신체적 요인, 끝나지 않을 양육의 영속에 대한 중압감의 심리적 요인, 장애인 자녀가 겪는 편견과 사회구성원과 동등할 수 없는 현실의 사회적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항상성 요인으로는 적극적 양육과 상담서비스를 통한 상담효과, 장애인 가족으로 양육당사자인 부모에게 희망을 주는 심리안정, 주변의 도움에 의한 관심과 배려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양육과정 모델은 인지→부정→자책→수용→헌신으로 드러났다. 장애인 자녀 양육유형은 자녀의 모든 요구(반항, 거부)를 수용하는 돌봄 형태인 포용형 유형, 자립형태의 양육을 독려하는 훈육형 양육, 장애인 자녀의 의지를 우선시하는 방임형 양육, 부모의 모든 역량을 장애 자녀에게 투입하는 헌신형 양육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서비스는 양육의 심리적 중압감을 완화, 해소하는 도구로 평가하여 항상성 변화의 긍정적 기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서비스는 장애인 자녀 양육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의 함의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constancy of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pport service users, and the study participants analyzed the stress of the child rearing process for 7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specific state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parent counseling service was analyzed as a physical factor that reached the limit of physical strength by full-day care, a psychological factor of pressure to perpetuate parenting, and a social factor that cannot be equal to social members, The parenting process model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cognitive → negative → self-restraint → acceptance → commitment. The parenting typ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divided into inclusive parenting, which is a form of care that accommodates all children's needs (rebellion, rejection), disciplined parenting that encourages self-reliance, neglect parenting that prioritizes the wil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edicat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evaluated the parent counseling service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as a tool to relieve and relieve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parenting, confirming the positive function of homeostasis change.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suggested that parent counseling servic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help relieve the stress of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류분석 인생태도 및 자아상태 기반의 텍스트 감정분석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그릿의 매개효과
- 노인의 노화태도가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 우울 경험 청년의 자아 상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류분석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 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노인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서비스 이용자의 양육스트레스 항상성 변화 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한글판 노인따돌림피해척도(K-BQOA: Korean Bullying Questionnaire for Older Adult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 부모의 감정코칭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및 정서지능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