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그릿의 매개효과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임희정 김장회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2권 제2호, 143~1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애착 정도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그릿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남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1, 2, 3, 4 학년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35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Sobel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그릿, 전공만족도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은 각각 전공만족도와 그릿을 매개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대한 함의점과 향후 연구 방향 및 연구의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college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s of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yeongnam area, and the data of 355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For the col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and Sob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t had a direct effect on college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grit, and major satisfaction. However,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parental attachment aff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rough major satisfaction. Third parental attachment aff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rough gri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table attachment formation with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helps to achieve constant efforts and practices for individuals’ future by increasing major satisfaction in determining grit and career that can overcome long-term goals and moments of p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reer education system such as course, teaching resources, and learning environment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and to develop programs to continuously maintain one’s problems and goal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need for social interest and welfare for parental education to form career classes or parental attchment that are more interesting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fore univers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류분석 인생태도 및 자아상태 기반의 텍스트 감정분석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그릿의 매개효과
- 노인의 노화태도가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 우울 경험 청년의 자아 상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류분석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 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노인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서비스 이용자의 양육스트레스 항상성 변화 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한글판 노인따돌림피해척도(K-BQOA: Korean Bullying Questionnaire for Older Adult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 부모의 감정코칭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및 정서지능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