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용수 175
- 영문명
- Development of parent coaching programs to strengthen parental competence and Validation of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이은주 박창규 신홍규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2권 제2호, 47~7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모의 긍정 정서, 대인관계, 회복 탄력성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은 코칭에 관련된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각 분야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여 설계되었다. 부모의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코칭 프로그램은 전체 10회기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 코칭 프로그램이 부모의 긍정 정서, 대인관계,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성을 알기 위해 SPSS 23.0 프로그램과 기술통계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신뢰도 분석과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T-test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이 검증되었다. 첫째, 부모 코칭 프로그램은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 정서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둘째,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회복 탄력성에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그 효과성에 대한 포괄적 확인이 필요하며 또한 주기적인 부모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긍정 정서, 대인관계, 회복 탄력성이 양육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과정을 검증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mproving parents' positive emo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silience by developing a parent coaching program to strengthen parents' competence with adolescent children. This program was designed by analyzing the needs of experts in each field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coaching,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e parent education coaching program for strengthening parents' competencies consisted of 10 sessions. In this study,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find out the effect and effect of the parent coaching program on parents' positive emo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silience. T-test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reliability and verify research problems, and the final verification results were verified as follows. First, the parent coach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positive emotions of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and second, it confirm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lience of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was significant. In future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needs to be combined to comprehensively confirm its effectiveness, and it is also suggested to verify the causal process of positive emo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silience affecting parenting stress through periodic parent coaching program effectiveness verificatio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부모 코칭 프로그램 개발
Ⅳ. 부모 코칭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류분석 인생태도 및 자아상태 기반의 텍스트 감정분석 연구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그릿의 매개효과
- 노인의 노화태도가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 우울 경험 청년의 자아 상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류분석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 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노인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서비스 이용자의 양육스트레스 항상성 변화 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한글판 노인따돌림피해척도(K-BQOA: Korean Bullying Questionnaire for Older Adult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 부모의 감정코칭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및 정서지능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