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격려에 관한 연구 동향
이용수 138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Self-Encouragement: A Review of the Papers in Domestic Journal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김세은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5권 제2호, 34~4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격려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자기격려의 속성을 이해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논문 중 2007년부터 2022년도 3월까지 KCI에 등재된 총 35편을 연구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통계분석, 연구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격려에 관한 연구는 2007년도 자기격려-낙담 척도의 개발을 시작으로 점차 증가했으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2.86%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중 변인 간 관계연구가 82.86%다. 넷째, 통계분석 방법은 회귀분석이 48.57%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57.14%의 연구에서 자기격려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격려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roperties of self-encouragement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self-encouragement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A total of 35 papers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from 2007 to March 2022 were selected for review and analyzed by the year of publication, subjects, methods, topics, statistical analysis and variables. Results: First, research on self-encouragement was conducted steadily, start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lf encouragement-discouragement Inventory in 2007 and showed a gradual increase from 2012, with the largest number in 2019. Second, the number of studies targeting undergraduate(graduate) students was almost half that of studies targeting other age group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in the research method, and among them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t 82.86% while there was no qualitative study. Fourth, a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most at 48.57% followed by structural analysis at 27.14%. Finally, in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the role of self-encourage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using self-encouragement as a mediating variable(57.14%).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elf-encouragemen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