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상담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465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chool Violence Counseling: Focused on studies from 2000 to 2021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김민경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5권 제2호, 16~33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학교폭력 상담에 대한 국내연구 47편을 연도, 학술정보, 연구 대상, 학교폭력 유형, 연구방법, 연구 주제별로 분석했다. 6가지의 분석 기준에 대한 자료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2009년까지는 연구가 저조했으나, 2010년부터는 증가하였다. 학위논문이 학술지 보다 많았고, 대상을 지정한 연구에서는 가해자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학부모 대상 연구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의 유형 중 신체, 언어폭력을 다룬 연구는 많았으나, 강요와 사이버 폭력에 대한 연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혼합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양한 통계 분석과 질적 연구가 사용되었다. 연구주제는 예방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동향연구가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폭력 상담연구에 대한 특징을 정리할 수 있었고, 피해자 및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 돠어야 하며, 시대의 흐름으로 변화하는 학교폭력에 맞춰 사이버폭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on school violence counseling in Korea. Methods: A total of 47 domestic studies on school violence counseling from 2000 to 2021 were analyzed by year, academ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types of school violenc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To conduct data analysis on six analysis criteri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Results: Research on school violence counseling was poor until 2009, but increased from 2010. There were more dissertations for degree than papers in academic journals. Among the studies that designated the subjects, the most were the perpetrator-centered counseling studies.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ies on parents were the lowest. In terms of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most studies dealt with physical violence and verbal violence, but studies on coercion and cyberbullying were confirmed to be few. Mixed methods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for research design. For statistical analysis, various methods were used such as verification of cronbach's α , analysis of covariance, etc. while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etc.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For research topics, preventive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while trend research was the leas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research were summariz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