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과 과제

이용수 121

영문명
Reflection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future tasks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저자명
석재은(Seok, Jaeeun)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교육』제60집, 39~7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개혁 논의는 근본적 문제의식과 달리 자격주의(credentialism),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강화로 전개되며, 사회복지교육의 정체성을 되찾는 근본적 해법과는 거리가 멀어져 왔다.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보다 근본적 논의를 위해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성찰하고, 제한적인 교과과정 내에서 핵심 교과내용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개혁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은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사회정의 가치를 추구하는 전문적 실천을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치, 지식, 기술의 내포적 관계를 사회복지실천의 성찰(reflection)이라는 교육방법으로 통합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교육 개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정의 가치 실천이라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명확히 하고, 변용가능한(transformative)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핵심 교과목 및 교과내용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교육수요로부터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교과과정을 귀납적으로 재구성하고, 기본 공통영역과 전문영역의 교과과정으로 분류하고 모듈식으로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자격제도와 사회복지교육의 개혁 과제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가치-지식-기술의 통합적이고 성찰적 교육을 위해 사회복지현장의 실천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사회복지 교과서를 새롭게 개발하며, 교수자의 혁신을 위한 교수 재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Unlike the fundamental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discussion on the reform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 strengthening of credentialism and professionalism and has been far from a fundamental solution to regaining the ident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a more fundamental discussion on social welfa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seek reform directions that can be reconstructed into a core curriculum within the limited curriculum.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s to nurture professionals who can practice professionally pursuing the value of social justice for a better life and a better societ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the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knowledge, and skills into an educational method called reflec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to reform social welfare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which is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values, and to restructure core subjects and contents that can develop transformative core compet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tively reorganize the curriculum that composes core competencies from the educational demand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classify it into basic common areas and specialized areas, and systematize it in a modular way. Thir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reform task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Fourth, for value-knowledge-technology integrated and reflec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ccumulate practice cases in social welfare fields, develop new social welfare textbooks, and retrain professors for innovation of instru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복지의 목적성과 사회복지교육
Ⅲ. 목적성 관점에서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비판적 성찰
Ⅳ. 포스트근대의 사회변화와 사회복지교육의 도전
Ⅴ.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 회복을 위한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재은(Seok, Jaeeun). (2022).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과 과제. 한국사회복지교육, (), 39-70

MLA

석재은(Seok, Jaeeun).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과 과제." 한국사회복지교육, (2022): 3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