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0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혜민(Lee, Hye-Min) 이지현(Lee, Ji-Hyun)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6호, 1683~17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겪는 외국인 유학생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개인 또는 소수의 삶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 국적의 20대 외국인 유학생 여성 2명이다. 연구는 2022년 2월 한 달 동안 사전․사후 면담과 총 6회기의 미술치료가 진행되었다. 미술치료 녹취록, 세션로그(session log), 참여자들의 미술작품을 통해 구성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이야기는 ‘핑크빛 봄: 따뜻한 봄의 설렘과 함께 생각나는 가족’, ‘환절기: 한국에 적응하기’, ‘태풍이 오는 가을: 한국 유학 생활의 어려움’, ‘변덕스러운 가을의 우기: 예기치 못한 고민들’,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 한국 유학 생활에서 얻은 것’이다. 이를 통해 형성된 외국인 유학생들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나를 돌아보고 마주하다’, ‘한국 유학 생활과 자신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다’, ‘미술 작업을 통해 서로 더 가까워지다’, ‘미술 작업의 경험을 나누고 싶어지다’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foreign students who suffered acculturative stress experienced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er adopt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at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lives of individuals or minor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wo Vietnamese students in their twenties. The researcher conducted a pre-interview and post-interview with a total of 6 therapy sessions for one month in February 2022. The five discovered themes from therapy session, session logs, and the participants’ artworks are as follows: “Pinky spring: Family that comes to mind with the excitement of warm spring”, “The change of seasons: Adapting to Korea”, “Fall with typhoon: Difficulties in Studying in Korea”, “The rainy season of fickle fall: Unexpected worries”, and “Autumn with high sky and plump horses: What I gained from studying in Korea.” Based on these themes,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was as follows: “Look back and face my self”, “Positively looking at studying abroad in Korea and one’s future”, “Getting closer to each other through artworks” and “Wanting to share experiences in artwork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여성의 공황증상 완화를 위한 REBT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 한국미술치료학회지「미술치료연구」게재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2011~2021년 논문을 중심으로 -
- 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치매 관련 미술치료 연구동향
- 콜라주 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정서인식․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미술치료사의 심상 기반 개인분석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놀이치료사들의 자기성찰적 그램책창작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사의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지지가 미술치료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
- 국내 미술치료 대학원 석, 박사 교과과정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