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지지가 미술치료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
이용수 47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Art Therapist's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Art Therapy Efficacy: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Transfer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신지원(Shin, J-iwon) 최한(Choi, Han)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6호, 1663~16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미술치료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 아래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의 내적 특성으로 자기통제력을, 외적 특성으로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교육훈련전이를 각각 설정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각 자기통제력, 사회적 지지, 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도구를 설정하고, 이 연구도구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현재 미술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미술치료사 25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이들 중 수집된 203명의 응답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의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자기통제력은 미술치료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사회적 지지는 미술치료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들 중 동료지지의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는 살펴볼 수 없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art therapy by art therapists. For this purpose, self-control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art therapists, social support as an external characteristic, and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as a mediating variable were set as research questions. Research tool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view of self-control, social support, and professional self-efficacy. Also, a questionnaire of these research tools was distributed to 250 active art therapis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 data from 203 therapists among them.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ists’ self-control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art therapy.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art therap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art therapy, and only the peer support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effective among them.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transfer could not b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여성의 공황증상 완화를 위한 REBT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 한국미술치료학회지「미술치료연구」게재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2011~2021년 논문을 중심으로 -
- 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치매 관련 미술치료 연구동향
- 콜라주 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정서인식․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미술치료사의 심상 기반 개인분석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놀이치료사들의 자기성찰적 그램책창작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사의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지지가 미술치료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
- 국내 미술치료 대학원 석, 박사 교과과정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