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85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in Studio Art Therapy of an Independent Film Director Suffered Depressive Disorder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지혜(Kim, Ji-Hye) 전순영(Chun, Soon-Young)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6호, 1573~160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1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장애가 있는 독립영화 감독이 스튜디오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했으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연구 참여자와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추후 상담을 포함하여 90분씩 총 20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했다. 전 회기의 녹음파일, 축어록, 회기별 작품, 꿈, 투사검사 결과와 연구자의 임상일지를 자료로 포함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경험을 재구성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에 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튜디오 미술치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에게 창조적인 작업에의 몰입과 동기부여가 이루어졌다. 둘째, 스튜디오 미술치료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는 관계의 개선을 경험하였다. 셋째, 스튜디오 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연구 참여자는 성취감과 정서적 안정감을 느꼈다. 넷째, 스튜디오 미술치료는 연구자의 역량과 경험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연구자는 역량 강화와 자기 탐구의 중요성을 성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 what ways an independent film director suffered depressive disorder experienced studio art therapy and the meanings of the therapeutic experience. For this purpose, 20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in each session from September 2021 to June 2022, including follow-up consultation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diagnosed depressive disorder. The experience was reconstructed through narrative inquiries, including the record of all sessions, verbatim records, artworks, dreams, Rorschach ink-blot test results, and the researcher's clinical journals. Through this study, this article presents the following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n the studio art therapy experience by the independent film director. First, in the studio art therapy, the research participant could immerse in creative work and motivated. Second, during the studio art therapy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 experienced relationship improvement.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stability during the studio art therapy. Finally, the therapy was affected by the researcher's competency and experience, and the researcher reflected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and self-exploration.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혜(Kim, Ji-Hye),전순영(Chun, Soon-Young). (2022).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9 (6), 1573-1600

MLA

김지혜(Kim, Ji-Hye),전순영(Chun, Soon-Young). "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9.6(2022): 1573-16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