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평등의 상이한 경로

이용수 220

영문명
Different Paths to Inequality -Changing Primary and Secondary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on Educational Transitions across Birth Cohort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최성수(Choi, Seongsoo) 이승현(Lee, Seung Hyeon)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2권 제3호, 241~27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상급학교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에 따른 불평등은 학업성취도에 따른 격차(일차효과)와 학업성취와 관계없이 선호나 선택 등에서 나타나는 격차(이차효과)로 구분될 수 있다. 우리 연구는 교육과사회계층이동조사(KESSM)와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데이터를 이용해 1950년대 출생자들부터 1999년 출생자들까지 사이에서 고등학교 및 대학진학에서의 가족배경에 따른 격차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 여기서 학업성취도 격차의 중요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문대 및 4년제 진학 여부에서의 가족배경 격차는 성취도에 따른 일차효과보다 성취도와 관계없는 이차효과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았다. 추세 역시 이차효과의 변화가 전체 가족배경 격차의 변화를 좌우했다. 고등교육 확대 이후 감소한 가족배경 격차 역시 이차효과의 감소로 설명된다. 둘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진학에서의 가족배경 격차는 일차효과에 의해 지배적으로 형성됐다. 셋째, 진학에서 학업성취도의 중요성은 선별성이 낮은 전문대 이상 대학 진학에서는 약화된 반면, 선별성이 높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진학에서는 강화되었다. 이와 함께 대체로 일차효과의 크기가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우리 연구 결과는 교육 불평등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초점이 학업성취도 중심에서 문화적·제도적·비인지적 측면의 불평등으로 전환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Inequality in the educational transition by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SES) can be decomposed into part associated with gaps in academic achievement (primary effects) and part associated with social processes shaping gaps in preferences and choices beyo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ary effects). We examine how family SES gaps in transitions to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primary and secondary effects, have changed across birth cohorts born between 1950s and 1999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Korea Education and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and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Our analyses reveal three key findings. First, family SES gaps in educational transitions to colleges were shaped primarily by secondary rather than primary effects. The trends were also largely influenced by changes in secondary effects. Second, family SES gaps in the transition to selective 4-year colleges, proxied by 4-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is predominantly shaped by primary effects. Third, the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has decreased for the transition to a less selective stage (e.g., transition to junior college or higher), while it has increased for the transition to a more selective stage (e.g., entry into a selective colleg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primary effects has also generally increased in recent birth cohorts. Our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and polity attention to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 extended to inequalities in cultural, institutional, and non-cognitive aspects of students’ lives from the narrow focus on gaps in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쟁점
Ⅲ. 자료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토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수(Choi, Seongsoo),이승현(Lee, Seung Hyeon). (2022).불평등의 상이한 경로. 교육사회학연구, 32 (3), 241-279

MLA

최성수(Choi, Seongsoo),이승현(Lee, Seung Hyeon). "불평등의 상이한 경로." 교육사회학연구, 32.3(2022): 241-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