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이용수 195

영문명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Focusing on Alternative Classrooms in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이민정(Min-Jung Lee) 유성상(Sung-Sang Yoo)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2권 제3호, 173~20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이 ‘학교 내 대안교실’을 통해 학교생활을 지속하는 과정을 파악하고, 교사는 이들의 학교적응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화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일반학급과 구분하여 운영하는 대안교실 사례를 선택하여,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중심의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은 대안교실의 목적을 ‘졸업’과 ‘학교생활 유지’, 그리고 ‘대안적인 교육의 기회 제공’으로 인식하였다. 대안교실 활동은 자유롭고 유연한 방식으로 참여하는 부적응학생에게 선택권을 주고, 주체적으로 하고 싶은 활동을 찾도록 권장한다. 이러한 대안교실의 목적과 운영과정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 유지기제’ 역할을 하였다. 교사들은 대안교실을 통한 부적응학생의 주된 변화를 학교생활의 ‘적응’과 ‘유지’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잠시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근본적인 부적응 문제가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뒤따랐다. 즉, 학생이 생활하던 기존의 학교와 교실은 여전히 그대로이고 부적응하던 환경은 변화된 것이 없으므로 부적응 현상은 언제든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대안교실이 부적응학생의 일시적인 학교생활 유지 기제 역할밖에 할 수 없는 이유는 교실 안에서 기대하는 학생의 모습과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평가 시스템의 한계였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부적응학생이 학교 안에서 여전히 주변화되도록 하였다. 대안교실이라는 주변화된(분리된) 공간과 시간을 이용하여 학교부적응의 기준과 학교교육의 범위를 넓혀보니, 예전에는 부적응했던 개인이 변화(적응)하여 학교 안에 함께 공존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과거에는 학교 안 부적응학생이 명확하게 인식되었다면, 지금은 함께 공존하는 듯하지만, 여전히 부적응한 상태로 애매한 주변화가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s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in which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maintain their school lives through ‘an alternative classroom in school,’ and to see how teachers perceive the school-adjustment process and make it meaningful.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driven qualitative research on teachers in charge of alternative classrooms by selecting the cases that are operated separately from ordinary classes for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s. The teachers perceived the purpose of alternative classrooms as ‘for graduation’, ‘for maintenance of school life’ and ‘providing alternat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Alternative classroom activities are encouraged by teachers to give options to participating maladjusted students and find activities that they want to do independently. The purpose and operation of these alternative classes served as a ‘school life maintenance system’ for maladjusted students. The teachers perceived the main changes in students who were maladjusted through alternative classes as adjustment’ and ‘maintenance’ of school life. However, it was followed by opinions that such changes in maladjusted students only seen for a while, and thus, the fundamental problem of maladaptation could not be seen as gone. The reason why alternative classes can only serve as a temporary school life maintenance system for maladjusted students was because it was the limitations of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 as well as the expected student image in class. Furthermore, a reproduction structure makes maladjusted students still be marginalized in school. Using the marginalized (separated) space and time of alternative classrooms, the scope of school adjustment standards and school education is expanded, and thus it looks like that the previously maladjusted individuals have changed and coexist in schools together. As such, maladjusted students were clearly recognized in school in the past, and today it seems that they coexist together, but as this study confirmed, they remain maladjusted and are becoming ambiguously marginaliz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또 다른 교육’: 학교 내 대안교실
Ⅴ. 학교부적응과 학교적응과정의 의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정(Min-Jung Lee),유성상(Sung-Sang Yoo). (2022).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교육사회학연구, 32 (3), 173-208

MLA

이민정(Min-Jung Lee),유성상(Sung-Sang Yoo).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교육사회학연구, 32.3(2022): 173-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