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별과 교과효능감 간 상호작용이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8

영문명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Subject Self-effic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VID-19 period-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안영은(An, Youngeun) 박세진(Park, Sejin) 강윤아(Kang, Yunah)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2권 제3호, 143~17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시행된 온라인개학으로 인해 성별 간 학업성취도 양상이 변화하였는지, 이때 교과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2020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국가수준 공통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중학교 학교급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층모형(HLM)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후 모든 교과 영역에서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에 남학생들이 더 높다고 보고되었던 수학교과까지도 동일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영향력에 있어 교과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는 전체 교과평균과 영어교과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남녀 집단별로 각 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고자 추가적으로 세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교과학습의욕과 자율적학습시간의 영향력이 여학생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 간 교육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whether the pattern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genders changed due to the online school opening conducted after COVID-19, and whether there was a interaction effect of subject self-efficacy at this time. To this end, the 2020 data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rganiz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were used and analyzed for middle school levels to which the national common curriculum was applied. The analysis method used a multilayer model (HLM),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worth noting that after COVID-19, femal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all subject areas, which showed the same tendency even in mathematics, which was previously reported for male students to be higher.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subject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ender was significant in the overall subject average and English subject. Third, as a result of additional analysis to compare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for each male and female group,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a greater influence on subject learning motivation and independent study hours than female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gender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영은(An, Youngeun),박세진(Park, Sejin),강윤아(Kang, Yunah). (2022).성별과 교과효능감 간 상호작용이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32 (3), 143-171

MLA

안영은(An, Youngeun),박세진(Park, Sejin),강윤아(Kang, Yunah). "성별과 교과효능감 간 상호작용이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32.3(2022): 143-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