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직원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 연구
이용수 137
- 영문명
- Childcare Center Staffs' Experiences in the Implementation of Play-Ba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원(Soo-Won Lee)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83~2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영·유아교육과정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패러다임에 따라 개정되면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교사의 자율성과 역할이 중요해졌다. 선행연구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사례 공유에 대한 보육교사 요구가 다수 보고됨에 따라 본 연구목적은 보육교직원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보육교직원 경험을 심도있게 들여다보기 위해 7명의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다. 녹취된 면담 내용을 전사하고 전사자료를 부호화 및 범주화를 한 결과, 보육교직원은 유아와 공간이 얽힘을 지원했으며, 유아를 둘러싼 주변 세계가 놀이를 매개하도록 수용하고, 기존에 사용하지 않았던 공간을 놀이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원활한 실행을 위해 보육교직원은 놀이중심 평가로의 전환과 바깥 환경으로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의 방향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s the paradigm of play-bas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pursued such as Revised Nuri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ild-care staffs’ experiences and need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y-based curriculum. Individual interviews with 7 child-care staffs has been conducted. As results of coding and categorizing the contents of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staffs supported the entanglement between children and space, accepted the mediation of the surrounding world in children’s play, and made use of the space which had never been used for play. They perceived that the assessment should be aligned into the paradigm of play-based curriculum, while the outdoor accessibility should be increase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ducational policy to reform assessment as well as financial support for facilities to increase the outdoor accessibility lea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lay-bas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브리티시 콜롬비아주 역량 교육과정 사례 탐색
- 내러티브와 백워드 설계 통합 기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 바이택트(bitact) 교육생태계의 필요와 피로 현상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수업 중 경험한 의료오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 경험 및 애도 상담의 질적 연구 동향분석: 2011년~2020년 중심으로
- 특성화 고등학교 근무 경험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중국 유학생의 대학원 생활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직원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 연구
- 한 도교육청 장학사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넘침과 모자람의 균형을 찾아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