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이택트(bitact) 교육생태계의 필요와 피로 현상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78
- 영문명
- A Study on the Needs and Fatigue of A Bitact Educational Ecology by Narrative Method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임 정유진 임환미 김영미 마은종 고요한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0권 제2호, 53~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생태계 실태와 미래 대응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 중소도시, 농어촌 등의 현직교사, 학부모, 학생 등을 대상으로 623명의 설문을 실시, 반응자 중 24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기반의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새로운 교육생태계의 긍정적인 경험은 교사의 경우 교사 역량강화, 효율적인 수업 등, 부모의 경우 건강관리, 화목한 가정, 학습관리, 매체 활용 능력 향상 등, 학생의 경우 편리한 수업, ICT능력 등이다. 둘째, 부정적인 경험은 교사의 경우 학생관리, 수업관리, 업무량 증가 등, 학부모의 경우 걱정거리, 부담감, 불만 등, 학생의 경우 생활습관 유지, 온전한 학습, 관계형성 등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학습방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겪은 각 급 교육주체들의 경험적 서사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급격한 교육생태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 지속가능한 가치 기반의 교육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교육학적 대안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focused on the Bitact ecology of education’s needs and fatigue as an effect. For this, total of 628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 teachers from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various sizes of cities. 24 of them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transcriptions, and field summaries in qualitative measure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a positive Bitact ecology of education experiences came from several different aspects for students, parents, and the teachers. Second, negative Bitact ecology of education experiences came from several different aspects as well. The study, by looking at experiences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the parent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o asynchronous learn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provides research behind what is needed during the changes towards Bitact methods for all levels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브리티시 콜롬비아주 역량 교육과정 사례 탐색
- 내러티브와 백워드 설계 통합 기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 바이택트(bitact) 교육생태계의 필요와 피로 현상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수업 중 경험한 의료오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 경험 및 애도 상담의 질적 연구 동향분석: 2011년~2020년 중심으로
- 특성화 고등학교 근무 경험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중국 유학생의 대학원 생활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직원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 연구
- 한 도교육청 장학사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넘침과 모자람의 균형을 찾아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