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 인식

이용수 411

영문명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limate Change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저자명
신금호(Shin, Keum-Ho) 이수진(Lee, Su-Jin)
간행물 정보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1호, 255~27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22명이었다. 기후변화 과학적 지식, 기후변화와 인간과의 관계, 기후변화 대응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인지는 하고 있었으나 온실효과, 기후변화, 온실가스의 종류 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한 개념을 갖고 있어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기후변화와 인간과의 관계에서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을 오존층 파괴와 결부시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인간이 느끼는 기후변화의 신호는 적절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직접적인 기후변화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인간에게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편이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 대응에서 기후변화협약은 매우 잘 인지하고 있었고, 기후변화 방지 주체와 완화 노력은 개인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기후변화 책임 국가는 모든 국가에게 있다는 인식이 가장 컸다. 또한 기후변화 관련 정보 습득은 인터넷이나 매체를 통한 것이 가장 많았고, 기후변화 관련 정부 대책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겠다는 인식이 높았다. 생활 속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실천에서는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줄이는 정도는 상당히 높았지만, 해야 하는 행동을 하는 정도는 보통이거나 소극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by investig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22 early ch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results derived from collecting and analyzing questionnaires composed of scientific knowledge of climate chang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beings, and response to climate change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climate change, but they lacked scientific knowledge because they did not fully understand or had misconception about the greenhouse effect, climate change, and type of greenhouse gas.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beings, early childhood teachers often recognized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in connection with the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but appropriately recognized the signal of climate change. They recognized direct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but were insufficiently aware of its indirect impact on humans. Third, in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early childhood teachers well recognized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subjects of prevention and relaxation efforts were mainly individuals and all countries were responsible for climate change. In add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s of climate change were most common through the internet or the media. There was a high perception that they would actively participate in government plan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action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daily life, the degree of behavior that should not be done was quite high, but the degree of behaviors that should be done was found to be moderate or passiv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금호(Shin, Keum-Ho),이수진(Lee, Su-Jin). (2022).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21 (1), 255-278

MLA

신금호(Shin, Keum-Ho),이수진(Lee, Su-Jin).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21.1(2022): 255-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