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연구 - 미술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이용수 103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Online Art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 Based on the survey of art teachers -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유진(Lee, You-Jin) 김효정(Kim, Hyo-J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68집, 177~21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토대로 온라인 미술관연계 감상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감상교육과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에 관한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국내외온라인 미술관의 운영 현황들을 조사한 뒤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혼합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인터뷰로 설계되어, 양적 연구 자료인 설문조사의 내용을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 자료인 인터뷰를 함께 종합하였다. 설문조사의 경우 중·고등학교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총 42부를 수집하였고, 인터뷰의 경우 3명의 미술교사가참여하였다. 연구도구는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실질적인 현황 파악과 개선방향 제언을 위한 미술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주보영(2017)이 개발한 교사용 설문지와 조설희(2007)의 설문지 및 분석 자료를 토대로 연구대상에 적합하도록 연구자가수정·보완하였다. 수집된 설문 응답 자료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을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녹음 후 전사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는다음과 같다. 미술교사들은 융합적인 사고 능력을 함양할 수 있으며 시공간적 제약이없는 탐구학습 공간으로 온라인 미술관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지속적인 활용을위해서는 교육 관련 자료의 개발과 공유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연구를 통하여 온라인 미술관과 학교 감상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이활성화되고 구성주의적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 공간인 온라인 미술관의 교육적 역량을더욱 더 확대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들의 협력적인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online art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surveys and interviews of art teachers. To this end, a mixed study was conducted to theoretically examin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on appreciation education linked to art museum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of online art museums in domestic and abroad, and to derive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with surveys and interviews, and the interviews, which are qualitative research materials, were put together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survey, which is a quantitative research material. In the case of the survey, a total of 42 copies were collect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art teachers, and in the case of interviews, three art teachers participated. Research tool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researcher to be suitable for research based on teacher questionnaires developed by Joo Bo-young (2017) and Cho Seol-hee (2007) s questionnaires and analysis data to identify the actual status of online art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The collected survey responses were conducted with frequency analysis through the SPSS Ver. 25.0 program, and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categorized after reco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hile art teachers positively recognize online art museums as exploratory learning spaces that can foster convergent thinking and have no space-time constraints, they responded that improvement is needed in terms of development and sharing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continuous utilization. Through this study, collaborative research by relevant experts should be continued to expand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online art museums, a digital space that enables constructive learning and to activat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that links online art museums to school appreci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유진(Lee, You-Jin),김효정(Kim, Hyo-Jung). (2022).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연구 - 미술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연구논총, (), 177-210

MLA

이유진(Lee, You-Jin),김효정(Kim, Hyo-Jung).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연구 - 미술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연구논총, (2022): 177-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