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 참여적 미술창작 교수 활동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6학년 미술영재아동을 대상으로 -

이용수 86

영문명
Self-Narrative Inquiry into Socially Engaged Art Creation Teaching Activities - Focusing on gifted children in grade 6 -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미정(Lee, Mi-Jeo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68집, 95~13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회 참여적 미술창작 활동을 계획하고 교수하고 성찰한, 한 교수자의자전적 내러티브를 통해 예술이 지닌 인문학적, 미술교육적 함의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3년간 C지역의 미술영재교육원의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매년 총 8회, 매회 160분의 사회 참여적 미술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된 교수 활동을 실행하였다. 수업을진행하며 연구자 일기, 사진, 수업 영상, 메모, 문서자료, 관찰, 인터뷰 자료를 모아연구자의 내러티브로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에, 사례에서 보여지는 특징으로 정리해 본, 예술이 지닌 인문학적, 미술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미술창작활동을 통해 사회의 문제가 곧 자신의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공동체의구성원임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에게 문제 상황에 부딪혔을때 자신을 극복하며 주변 사람들과 함께 해결해 나가는 소통의 경험을 제공해 줄 수있다. 셋째, 미술창작 과정 속에서 문제 인식과 함께 해결에 대한 희망과 작품 완성으로성취감을 제공하여 당면한 삶에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넷째, 예술이 시각적 아름다움을향유하게 하는 것 외에 자기의 주장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의미 있는 도구가 될 수있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다섯째, 사회적 주제를 다룸으로써 관객과의소통이 갖는 중요도, 관객이 존재함으로써 성립되는 예술의 사회적 특성을 경험하게되었다. 여섯째, 공동체 활동을 통한 사회 참여적 미술창작 수업은 미술 표현에 대한보다 깊이 있고 진지한 방법적, 내용적 모색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예술이 지닌사회 참여적 성격을 통해 학습자가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태도를 기르고, 근대적 시각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예술의 가치를 경험함으로써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다층적으로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함에 시사점을 둘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humanities and art education implications of art through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of a professor who planned, taught, and reflected on socially engaging art creation activities. Therefore, for 3 years, a total of 8 times a year, 160 minutes of socially engaging art creatio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6th grade children of the art gifted education center in area C for 3 years. During the class, the researcher s diary, photos, class video, memo, documentary, observation,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organized as the researcher s narrative. Accordingly, the humanities and art education implications of art, summarized by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as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ble to help learners to recognize that they are a member of the community by inducing them to recognize that the problems of society are their own through art creation activities. Second, it can provide the learner with an experience of communication when they encounter a problem situation, overcome themselves and solve it with the people around them. Third, it provided a sense of accomplishment during the art creation process, giving them confidence in the life they are facing. Fourth, it wa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directly experience that art can be a meaningful tool to express one s opinions or thoughts in addition to enjoying visual beauty. Fifth, by dealing with social themes, learners have no choice but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and experienc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rt that are established only when the audience exists. Sixth, the socially participatory art creation clas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was premised on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so it induced a deeper and more serious method and content search for art expression.

목차

Ⅰ. 예술을 바라보는 관점
Ⅱ. 사회참여미술과 공동체
Ⅲ. 연구 방법과 수업의 실제
Ⅳ. 가르치며 배우는 이야기
Ⅴ.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정(Lee, Mi-Jeong). (2022).사회 참여적 미술창작 교수 활동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6학년 미술영재아동을 대상으로 -. 미술교육연구논총, (), 95-133

MLA

이미정(Lee, Mi-Jeong). "사회 참여적 미술창작 교수 활동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6학년 미술영재아동을 대상으로 -." 미술교육연구논총, (2022): 95-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