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피소드 요소와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와 에피소드 요소 탐색을 통한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
이용수 81
- 영문명
- Structural Conceptual Integration Model: A Exploration of Episodic Resources and Identification of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Episodic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최순리(Soonri Choi) 최서현(Seohyun Choi) 손채현(Chaehyeon Son) 김다정(Dajeong Kim) 송지훈(Jihoon Song)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3권 제3호, 1~66쪽, 전체 6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10,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연구1은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를 밝히고, 연구2는 에피소드 요소들을 탐색하여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개인이 직무 몰입 상태에 이끌어지는 총체적인 구조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에피소드는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JD-R 요인들과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업무 환경이 가정으로 확대됨에 따라 가정 자원 요인을 포함하였다. 문헌 분석은 2019년 1월부터 2021년 4월 15일까지 국외에서 연구된 논문 268편을 확인하였다. 연구1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는 직무-요구 자원이론(Job and demand-resource theory), 확장-형성 이론(Broaden-build theory),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으로 관계를 확인했고, 연구2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소 탐색은 1차 인지와 정서의 요인으로 분류하고, 2차 정신적 업무 중심 내부와 외부, 심리적 자기중심 내부와 외부로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1의 이론적 모형과 연구2 에피소드 요소 탐색의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제시하여 일상생활과 업무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확장된 업무 환경 확장에서 직무 몰입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에피소드 요인과 요소의 개념적 영향 관계와 직무 몰입의 실증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1 is to identify theoretical relationships among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and the study 2 has its aim to explore the episodic resources and to construct a conceptual integration model to find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s are driven to work engagement. ‘Episodes’ included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and home resources as the work environment expanded to home due to COVID-19. The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268 articles published overseas from January, 2019 to April 15th, 2021. As a result of study 1, the theoretical relationships of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were identified based on Job demand-resource theory (JD-R theory), Broaden-build theory, and Cognitive evaluation theory. As a result of study 2, episodic resources were primarily classified as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reclassified as cognitive task-orient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motional egocentric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sum up, this study identified how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re related within daily life and work situation through integrated conceptual model.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mpirical study of the episodic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and the episodic factor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expansion of work environment.
목차
Ⅰ. 연구 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음과 옳음의 윤리 이론으로 본 개인과 조직의 관계와 인적자원개발의 결과에 대한 고찰
- 사회초년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직업적응의 관계
- 에피소드 요소와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와 에피소드 요소 탐색을 통한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
- 자기결정성과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사내벤처 창업의도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로 변화된 HRD 담당자 역할 및 역량에 관한 연구
- 평생교육 관점에서 본 군 장병의 학업중단 문제해소를 위한 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체 근로자의 적응수행 선행변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통합모형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