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6
- 영문명
- Examining the Impact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ve Behavior: Mediation of Job Crafting and Moderation of Empowering Leadership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희(Sanghee Lee) 김태성(Taesung Kim)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3권 제3호, 157~1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형식학습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이 과정에서 임파워링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총 295명의 자료에 대해 단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해 변수 간 관계 및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무형식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β =.632, p<.001), 무형식학습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하였으며(β =.757, p <.001), 무형식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잡크래프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β =.382, p<.001). 부트스트래핑 분석 결과 무형식학습과 혁신행동의 사이에 매개변인인 잡크래프팅을 투입하지 않은 경우의 직접효과와 투입한 경우의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β=.343, p<.001) 잡크래프팅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잡크래프팅에 대한 무형식학습과 임파워링리더십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 that informal learning is transferred to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with moderation of empowering leadershi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mployees working in Korea, and the total of 295 responses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 behavior was significant(β =.632, p<.001);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job craft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β=.757, p <.001); and, with informal learning controlled,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innovative behavior was also significant (β =.382, p<.001). The bootstrapping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 behavior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β =.343, p<.001), which reconfirmed the partial mediation of job crafting. However, empower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no moderation e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음과 옳음의 윤리 이론으로 본 개인과 조직의 관계와 인적자원개발의 결과에 대한 고찰
- 사회초년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직업적응의 관계
- 에피소드 요소와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와 에피소드 요소 탐색을 통한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
- 자기결정성과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사내벤처 창업의도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로 변화된 HRD 담당자 역할 및 역량에 관한 연구
- 평생교육 관점에서 본 군 장병의 학업중단 문제해소를 위한 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체 근로자의 적응수행 선행변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통합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지역사회 연계 협력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성인학습자의 대학학위과정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이 대학생활 후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인본주의 관점에서 본 평생교육의 의미 및 개념 정의에 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