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의 과제 및 이에 관한 접근 방안 모색

이용수 143

영문명
A study on the tasks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and finding an approach method to it through Sino-Korean and Chinese phoneme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이준환(Yi Jun-Hwan)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67권, 5~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 과제와 이 과제를 어떻게 접근하여 볼 수 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차자 표기 자료의 해독, ②훈민정음 중성 체계에 관한 이해, ③중세 국어 이중 모음의 성격 이해, ④한어의 음을 통한 전사 자료의 해독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①과 관련해서는 차자의 중세 국어 한자음이나 한어의 음으로는 원만히 해독하기 어려운 斯盧>新羅에서 보이는 ‘新’의 ‘*시’란 독법을 살피고 ‘*시’는 성부 ‘亲’나 의부 ‘斤’을 지닌 한자의 음에 止攝에 해당하는 것이 있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을 다루었다. 또한 여러 예에서 ‘留’가 중세 국어 한자음과 달리 ‘루’를 보이는 것을 국어의 이중 모음의 발달 과정을 살피는 데에 중시해야 함을 斯盧>新羅>薛羅에서 볼 수 있는 ‘*시>*샤~셔’의 변화와 연관 지어 살폈다. ②와 관련하여 훈민정음에서 ‘ㅛ, ㅑ, ㅠ, ㅕ’가 중성 11자에 포함된 것은 정음의 창제가 고유어, 한자음, 외국어를 두루 적고자 한 문자 제정과 관련되며, 성운학에 언어학적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성 11자는 개구(ㆍ, ㅡ, ㅣ, ㅏ, ㅓ), 합구(ㅗ, ㅜ), 제치(ㅑ, ㅕ), 촬구(ㅛ, ㅠ)를 체계적으로 나타내려 한 결과로 살폈다. ③과 관련하여 ‘-디>-디위’에서 보이는 /β/>/w/와 방언에서의 ‘뼈다귀→뼈다기~뼈다기’를 이해하려면 /wi/의 존재를 설정해야 하는데, 止攝의 한자음에서 보이는 ‘ㅢ’, ‘ㅚ’, ‘ㅟ’를 주모음을 선행하는 /ㅡ/, /ㅗ/, /ㅜ/가 아니라 후행하는 /ㅣ/로 보아야 체계적으로 이해가 된다는 분석 근거를 바탕으로 상향 이중 모음인 /ㅢ/, /ㅚ/, /ㅟ/가 실재하였음을 확인하여 고유어에서도 /wi/를 설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④와 관련하여 󰡔鷄林類事󰡕와 같이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자료를 전사 경향에 따라 살펴보면 전기 중세 국어와 후기 중세 국어 사이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음운 변화와 이와 연관되어 일어난 형태 변화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를 ‘나모’와 관련되는 항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asks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seen through Sino-Korean and how they can be approached. Specifically, I examine to ①decoding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②the understanding of the Hunminjeongeum vowel system, ③the nature of the Middle-Korean diphthong, and ④the decoding of Korean transcribed materials using Chinese phonemes. Regarding ①, I dealt with the problem of those that are difficult to decipher smoothly with the Middle Sino-Korean and Chinese phoneme in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In addition, I dealt with Korean diphthong appear as monophthong in various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which are different from Middle Sino-Korean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diphthong in Korean. Regarding ②, I dealt with the inclusion of ‘ㅛ(yo)’, ‘ㅑ(ya)’, ‘ㅠ(yu)’, ‘ㅕ(yə)’ in the 11 medial in Hunminjeongeum as in monophthong. In considering it, it was important that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i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characters to write down native, Chinese, and foreign languages, and has a linguistic basis on Chinese phonology. Regarding ③, I looked at the presence of /wi/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of /β/>/w/ and the replacement in the dialect. To this end, phonological analysis of ‘ㅢ’, ‘ㅚ’ and ‘ㅟ’ shown in the Middle Sino-Korean notation of Jiseop(止攝) confirmed that upward diphthong /ㅢ/, /ㅚ/ and /ㅟ/ existed. Regarding ④, I looked at the data before Hunminjeongeum creation, transcription data such as Gyerimyusa(鷄林類事), according to the transcriptional trend, focusing on the items related to ‘Namo’ on how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change that appears to have been between the early and late Middle-Korean language.

목차

1. 들어가며
2. 차자 표기 자료의 해독과 한자음
3. 훈민정음 중성 체계의 이해와 한자음
4. 이중 모음의 구조와 한자음
5. 한어음을 통한 국어 음운사 및 형태사의 이해
6.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환(Yi Jun-Hwan). (2021).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의 과제 및 이에 관한 접근 방안 모색. 우리말연구, 67 , 5-42

MLA

이준환(Yi Jun-Hwan).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의 과제 및 이에 관한 접근 방안 모색." 우리말연구, 67.(2021): 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