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나옹혜근의 조선불교계 위상과 법맥

이용수 74

영문명
Naong Hyegeun’s status and lineage in Joseon Buddhism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철헌(Lee, Cheolheon)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4권, 127~1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말 삼사라 부르는 백운경한, 태고보우, 나옹혜근 가운데 민중과 함께 하고 조선조까지 널리 예경된 이는 나옹이다. 나옹은 국내에서 조계선을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은 뒤 원나라에 들어가 지공선과 임제선을 인가받아 온 선사다. 그러나 나옹은 임제선만을 주장하지 않고 국내 조계선을 확립한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사상을 계승하여 교학과 정토신앙을 함께 수행하고 대중을 교화했다. 나옹이 회암사를 중창하고 법회를 열자 사부대중이 구름처럼 몰려들자 조정에서는 나옹을 밀양 영원사로 보냈다. 배불의 기운이 싹트던 시기에 사대부들은 승려와 백성들로부터 절대적인 존경을 받던 나옹을 제거하여 불교중흥의 불씨를 꺼버리려 했던 것이다. 나옹은 영원사로 내려가던 중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했다. 입적하면서 남긴 많은 이적과 사리는 더욱더 민중들의 예경을 불러왔고, 조선시대에도 승려와 민중들에게 신앙의 중심으로 이어져 왔다. 조선중기이후 각 씨족이 앞 다투어 족보를 만들자 불교계도 법맥을 정리했다. 휴정의 후대법손들은 한반도에 불교가전래되어 면면히 이어온 사상과 신앙의 흐름을 끊어버리고 중국 임제선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의 법맥을 정리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여말선초 환암혼수(幻菴混脩, 1320~1392)의 사법스승을 나옹에서 보우로 바꾸면서까지 임제선의 법맥을 만들고자 했다. 조선불교계에 나옹의 존재는 이미 ‘지공-나옹-무학 이라는 삼화상의 체계가 깊이 자리하고 있어 ‘나옹-환암 으로 연결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각종 의례집에서 태고와 환암을 선문조사로 예경하지 않았다는 것이 구산선문으로부터 이어져 오는 조계선의 법맥과는 별도로 고려말 중국 임제선의 법맥을 새로 만드는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선사들이 임제선을 주장하며 태고법맥을 만들었지만 나옹에 대한 민중들의 예경은 각종 불교의례집에 남아있으며 각종 불사에 지공・무학과 함께 증명법사로 모시고 있다.

영문 초록

Among the three monks of the late Koryo, Baekwoon Gyeonghan, Taego Bowoo, Naong Hyegeun, it was Naong who stood with the populace and was worshipped widely until Joseon. Naong is a zen priest who went to Yuan dynasty and received certification of Jigong�zen and Imje-zen after he achieved enlightenment domestically through practicing Jogye-zen. However, Naong did not insist Imje-zen. He succeeded the idea of Bojo Jinul who established domestic Jogye-zen and performed both education and belief in the Pure Land to enlighten mankind. When Naong rebuilt Temple Hoiam and held a Buddhist lecture meeting, a lot of audiences flocked. The government sent Naong to Temple Youngwon in Miryang as the noblemen wanted to stop the restoration of Buddhism by removing Naong who was highly esteemed by monks and the public. But on the way to Temple Yeongwon, Naong died in Temple Silleuk in Yeoju. Naong left plenty of miracles and relics as he died, which further attracted people’s respect and passed down as the center of belief to monks and people in exclusion of Buddhism of Joseon. After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Buddhist community arranged lineage as each family scrambled to make a genealogy. Hyujeong’s descendants tried to organize the genealogy of Korean Buddhism focused on Imje-zen of China, cutting the flow of the idea and belief inherited since Buddhism was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They endeavored to make the lineage of Imje-zen by switching the teacher of Hwanam Honsoo from Naong to Bowoo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However, it was hard to connect to ‘Naong�Hwanam’ as Naong was widely recognized as the Three monks in Joseon Buddhism, ‘Jigong�Naong-Moohak’. And the fact that Taego and Hwanam was not worshipped as the founders of the religious sect in various rituals favored making a new line of Imje-zen masters in the late Koryo separate from the line of Jogye-zen masters passed down from Nine-mountains. While Zen priests made the genealogy of Taego insisting Imje-zen, the lineage of Jigong-Naong�Moohak which received absolute respect from the public still lasted. Naong’s presence settled deep inside the masses was not taken away and people’s services toward Naong remained in a variety of Buddhism rituals. Naong is worshipped as the certifying monk of Buddhist priests in many ceremonies along with Jigong and Moohak.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나옹혜근의 조선불교계 위상
Ⅲ. 나옹혜근의 법맥
Ⅳ.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헌(Lee, Cheolheon). (2020).나옹혜근의 조선불교계 위상과 법맥. 종교교육학연구, 64 , 127-144

MLA

이철헌(Lee, Cheolheon). "나옹혜근의 조선불교계 위상과 법맥." 종교교육학연구, 64.(2020): 127-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