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세 십자군운동과 성전(聖戰)
이용수 2479
- 영문명
- The Middle Ages Crusades and Holy War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강경림(Kyong Lim Kang)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9호, 171~21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주후 632년부터 무함마드의 후계자인 칼리파들이 공격적인 지하드 (聖戰)을 내세워 비잔틴제국 내의 이집트, 팔레스타인, 소아시아 지역의 기독교 영지를 정복해 나갔고, 638년에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1077 년에 무슬림 셀주크 튀르크족이 예루살렘을 다시 점령하면서 기독교인 들의 성지순례를 금지시켰다. 이에 교황들이 유럽의 가톨릭 국가들의 지도자들에게 성지 탈환을 명분으로 십자군 원정을 부르짖었다. 그리하여 1095년 1차 십자군 원정을 시작으로 약 8차례에 걸쳐 200여 년 간 기독 교와 이슬람교 간에 ‘성전’(聖戰) 게임이 벌어졌다. 이 중세의 십자군 원정은 1054년에 분열된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간의 갈등을 더욱 증폭시 켰고, 서방 기독교 국가들과 동방 비잔틴제국 간의 적대감을 불러일으켰 다. 2001년 교황 바오로 2세는 그리스를 방문하는 자리에서 과거 십자군에 의한 침략과 학살, 약탈 행위에 대해 정식으로 사과했다. 그러나 긴세월 동안 진행된 서방 기독교와 동방 이슬람교의 두 이질적인 문명 사이에 일어난 이 전쟁들은 유럽 사회에 종교, 정치, 경제, 문화, 학문 등의 모든 영역에 크나큰 영향을 끼쳤다. 이 십자군 원정들이 마감된 이후에도 유럽 내부에서는 종교 전쟁이 성전(聖戰)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 다. 이슬람 진영 역시 지하드를 진행시켜 왔다.
현대에는 성전(聖戰)으로서의 종교 전쟁은 더 이상 지지받지 못한다.
지하드이든 십자군이든 이것들은 종교를 빙자하여 무지한 백성들을 오도하는 절대 권력자의 탐욕에서 비롯되는 것인 만큼, 성전(聖戰)은 철저히 배격되어야 한다. 정상적인 인간은 그 어떠한 종류의 전쟁도 혐오한 다. 그러나 원죄를 가지고 태어나는 인간들이 사는 현실 세계에는 전쟁이 항존한다. 우리는 전쟁을 억제하고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위력을 갖추면서, 온 세계가 전쟁 없는 세상을 만들 수 있도록 끊임없이 지혜를 모아가야 한다.
영문 초록
From 632 A.D., Khalifa, the heir to Muhammad, conquered Christian lands of Egypt, Palestine, and Asia Minor within the Byzantine Empire and then conquered Jerusalem in 638 with aggressive Jihad. In 1077, the Muslim Seljuk Turk took over Jerusalem again and banned Christians from visiting the Holy Land. Thus, the popes shouted for the leaders of the Catholic countries of Europe to go on a crusade to recapture the holy land.
Starting with the first Crusades in 1095, Christianity and Islam played holy war games for almost 200 years. Islamic and Christian holy wars had similar incentives to promote war. The medieval Crusades ended in failure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the Crusades - recapturing and enduring possession of holy places, including Holy Land, from pagan Muslims. As a result of its holy war, hatred has been maximized between the crusaders and Muslims, and as a result, hostility between the two religions continues to this day. In addition, this medieval crusade further intensified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and Eastern churches torn in 1054; creating hostility between the Western Christian states and the Eastern Byzantine empires. In 2001, Pope John Paul II, during a visit to Greece, formally apologized for past invasions, killings and looting by the Crusades. However, these wars, which took place between the two disparate civilizations of Western Christianity and Eastern Islam, had a huge impact on European society in all areas, including religion, politics, economics, culture, and learning. Even after these crusaders ended, religious wars continued in Europe under the name of holy war. The Islamic world has also led the jihad.
In modern times, religious wars as holy wars are no longer supported.
Since these, jihad or Crusades, originated from the greed of an absolute power that misleads ignorant people under the pretext of religion, holy wars should be rejected thoroughly. However, most people agree with the just war theory (bellum iustum) for the nation s self-defense. In Article 51 of the U.N. Charter, just wars(jus ad bellum, jus in bello) are only allowed in self-defense. However, the long-lived medieval crusade wars have made a profound change in European society in all aspects of religio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normal human being detests any kind of war. However, there is war in the real world where men are born with original sin. Since the early days of Christian history, there have been a few pacifists in various environmental contexts. However, since the Christian Church is also a community that lives beyond the world, it also exists in the world, although the ultimate concern of all of us is life of peace, a deep reflection is needed on how this life of peace is given. We already know how to cultivate peace because we know how a country with military power goes through countless wars that invade powerless nations and is well aware of the horrors of those wars. It is a constant gathering of wisdom to enable the whole world to make a world without war, with enough self-defense to suppress war and maintain peace.
목차
I. 십자군운동의 배경과 요인
II. 십자군운동의 과정
III. 십자군전쟁이 교회에 미친 영향
IV. 십자군전쟁은 성전(聖戰)인가?
V. 성전(聖戰)의 의미
V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세 십자군운동과 성전(聖戰)
-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로마 평화정책 (Pax Romana)
- 3 ․ 1운동과 한국교회 : 민족의 운동, 세계의 운동, 시대의 운동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 ― 기독교 평화윤리의 토대 놓기
- 아우구스티누스 (St. Augustinus) 의정당전쟁론
- 19세기 국민국가의 형성과 전쟁 신학 ― 독일을 중심으로
- 한반도 평화와 현실주의 ―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에 대한 재검토에 근거하여
- 지하드 ― 신의 길에서 분투하다
- 코메니우스의 평화신학과 평화교육론
- 평화로 존재하는 그리스도 (Christus als Friede existierend) ―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 이해
- 하나님의 휴전
- 평화통일과 교회의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권두언> 청년과 한국 교회의 미래 - 신학적 소명과 학문적 응답
-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2. 128쪽.
- 예수와 청년들 -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와 청년과의 관계 연구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