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 ― 기독교 평화윤리의 토대 놓기
이용수 158
- 영문명
- The Peace of Jesus Christ and the Kingdom of God Laying Foundation of the Christian Peace Ethics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강성영(Sung 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9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예수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라는 주제 하에 기독교 평화윤 리의 토대를 놓기 위해 평화윤리의 성서적 신학적 근거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모색하였다.
평화윤리는 산상설교의 반명제인 폭력의 포기와 원수 사랑의 계명, 예수의 윤리에 성서적 토대가 있고,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예수의 선포에서 나타난 종말론적 윤리에 신학적 근거를 가진다. 기독교 평화윤 리의 수립을 위한 성서적-윤리적 토대 놓기를 통해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평화는 가능하다. 2) 평화 건설은 폭력 사용의 포기와 원수에 대한 적대감의 극복과 화해를 통해 가능하다. 3) 평화 건설은 하나님 나라의 희망을 통해 동기화되고, 현실화되며, 완성된다. 4) 평화는 정의와 결합되어 구조화된 폭력을 제거하고 삶을 온전하게 회복하는 정의로운 평화가 되어야 한다.
오늘 한국 사회와 교회의 현실에서 당면한 평화의 과제는 두 가지이 다. 하나는 오래된 남북의 갈등과 적대를 종식하고, 화해와 평화의 길을 열어가는 가운데, 한반도의 비핵화를 이루어 평화체제를 정착하는 일이 다. 다른 하나는 한반도의 평화를 넘어 세계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교회에 주어진 평화의 위임과 책임을 감당하는 일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seeks under the theme of “Peace of Jesus Christ and the Kingdom of God” the biblical theological basis of Christian Peace-Ethics.
Based on this, we sought the missionary task of the church to realiz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Peace ethics has a biblical foundation in the abandonment of violence and the commandment of Enemy-love and the preaching of Jesus to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1) Peace is possible. 2) Peace building is possible only through abandonment of violence use, overcoming the hostility against enemy, and reconciliation. 3) Peace building is motivated, realized, and completed through the hope of kingdom of God. 4) Peace must be combined with justice to be a just-peace that removes structured violence and restores the integrity of life.
Today, there are two kinds of missions of peace i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One is to settle the peace system by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ending the conflicts and hostilities and opening the wa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other is to fulfil the delegation and responsibility of peace given to the church to do for the peace of the world.
목차
I. 시작하는 말
II.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세 십자군운동과 성전(聖戰)
-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로마 평화정책 (Pax Romana)
- 3 ․ 1운동과 한국교회 : 민족의 운동, 세계의 운동, 시대의 운동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 ― 기독교 평화윤리의 토대 놓기
- 아우구스티누스 (St. Augustinus) 의정당전쟁론
- 19세기 국민국가의 형성과 전쟁 신학 ― 독일을 중심으로
- 한반도 평화와 현실주의 ―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에 대한 재검토에 근거하여
- 지하드 ― 신의 길에서 분투하다
- 코메니우스의 평화신학과 평화교육론
- 평화로 존재하는 그리스도 (Christus als Friede existierend) ―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 이해
- 하나님의 휴전
- 평화통일과 교회의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권두언> 청년과 한국 교회의 미래 - 신학적 소명과 학문적 응답
-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2. 128쪽.
- 예수와 청년들 -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와 청년과의 관계 연구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