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세기 국민국가의 형성과 전쟁 신학 ― 독일을 중심으로
이용수 391
- 영문명
-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War Theology in the 19th Century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백용기(Yong Gi Baig)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9호, 243~26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44/144192.jpg)
국문 초록
19세기는 서구 역사에서 “민족”이 형성되는 시기였다. 프랑스혁명은전 유럽에 새로운 시대를 알리는 서곡이었다. 하나의 유기체로서 튼튼하게 여겨졌던 중세의 신분사회 질서는 르네상스, 종교개혁, 계몽주의를 거쳐 바스티유의 물결에 의해서 해체된 것이다. 혁명으로부터 촉발된 시민/국민의식은 민족에 의미를 부여하는 민족주의라는 새로운 정치적 개념을 탄생시켰다. 프랑스혁명으로부터 시작된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에 대항하여 보수적인 민족주의가 독일의 낭만주의를 배경으로 출현한다.
낭만주의를 뿌리로 한 독일 민족국가의 성격은 19세기 유럽의 다른 어느 나라보다 강렬했다. 독일 낭만주의는 신비주의적이고 경건주의에 뿌리를 둔다. 독일 개신교는 민족주의를 신학적으로 근거지우면서 국가를 신의 대리자로 이해하였다. 독일의 민족주의는 소국가로 분열된 민족 해방과 통일국가를 이루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으나, 서구적 민주주의 사상에 반대한 태생적 한계로 인해서, 정치 사회적 반동의 길을 독일의 고유한 가치로 주장하게 된다.
왕권과 제단(Thron & Altar)이 밀접하게 결합된 독일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전쟁 신학이 성장할 수 있는 좋은 토양이었다. 세계 제1차 대전을 방어 전쟁으로 선포한 독일 개신교는 전선에서 들려오는 영웅적인 이야기를 설교단에서 선포함으로써 더욱 애국심을 고취시켰다. 전쟁 설교 에서 기독교는 독일 정신에 동화되어야 하며, 기독교를 민족을 고양시키 는데, 전투적 힘에 봉사해야 한다고 전파하였다. 반면에 평화운동을 하는 자들은 교계에서 비난받고 몽상가, 나쁜 애국자, 국가의 적으로 탄핵 되었다. 물론 이러한 행위가 독일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쟁 신학은 곧 기독교 탈퇴를 더욱 가속화시키는데 크게 공헌하 였다.
영문 초록
The 19th century was when “nation” were developed in Western historians. The French Revolution was a prelude to the new era throughout Europe. The Middle Ages social order, which considered as an strong social organism was dissolved by the Renaissance, the Reformation, the Enlightenment and over the wave of Bastille. The citizen/national consciousness started from revolution has given birth to a new political concept of nationalism which gives meaning to the people.
The conservative nationalism against liberal nationalism that began in the French Revolution appears in the background of German romanticism.
The German national state rooted on Romanticism was stronger than any other European country in 19th century. German Romanticism is mystical and rooted in Pietism. The German Protestantism had a theoretical basis on nationalism and understood the state as a surrogate of God. German nationalism has led to positive consequences for the national liberation of divided nation and unified nation. However,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s against Western democratic ideas, German nationalism insist to its own political and social reaction way.
Germany was the best soil for growing war theology than any other state, because Germany was very closely joined by the royal authority and altar (Thron and Altar). German Protestants, who declared World War 1 as a defensive war, were even more patriotic by announcing heroic stories from the front line. In the sermon of war, Christianity was told to assimilate into the spirit of Germany, enhance the nation and serve to militant power. On the other hand, the peace activists were criticized by the religious world and impeached as dreamers, bad patriots and enemies of the state. Of course, this was not confined to Germany. But the war theology greatly contributed to accelerate the withdrawal of Christianity further mor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교회사에서 본 전쟁 이해
III. 독일 국민국가 형성
IV. 전쟁 신학
V.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세 십자군운동과 성전(聖戰)
-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로마 평화정책 (Pax Romana)
- 3 ․ 1운동과 한국교회 : 민족의 운동, 세계의 운동, 시대의 운동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 ― 기독교 평화윤리의 토대 놓기
- 아우구스티누스 (St. Augustinus) 의정당전쟁론
- 19세기 국민국가의 형성과 전쟁 신학 ― 독일을 중심으로
- 한반도 평화와 현실주의 ―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에 대한 재검토에 근거하여
- 지하드 ― 신의 길에서 분투하다
- 코메니우스의 평화신학과 평화교육론
- 평화로 존재하는 그리스도 (Christus als Friede existierend) ―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 이해
- 하나님의 휴전
- 평화통일과 교회의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권두언> 청년과 한국 교회의 미래 - 신학적 소명과 학문적 응답
-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2. 128쪽.
- 예수와 청년들 -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와 청년과의 관계 연구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