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와 현실주의 ―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에 대한 재검토에 근거하여
이용수 379
- 영문명
- Peace in the Korean Penninsula and Realism : Based on a Review of Reinhold Niebuhr’s Realistic Peace Theory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강원돈(Won Don Kang)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9호, 297~340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 필자는 한반도 평화를 구상하는 데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 주의적 평화 이론이 얼마큼 기여할 수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반도 평화 구상에서 반드시 고려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했다.
필자는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이 1) 권력 현상에 대한 현실주의적 인식과 민주주의 옹호, 2) 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큰 적인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 3) 세계 정부 수립이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에 근거한 현실주의적인 군사 ・ 정치 전략, 4) 미국의 세계적 리더십등 네 가지 기둥 위에 세워져 있다고 분석하고 비판했다. 니버의 민주주의 이해와 반공주의에 과도한 신학주의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 니버가 표방한 현실주의적 군사 ・ 정치 전략이 근대 국가의 신화와 베스트팔렌 체제의 프레임에 갇혀 있고, 안보 딜레마를 해소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는 점, 미국의 리더십 발휘에 겸손과 인내가 필요하다는 니버의 조언이 미국의 패권 추구를 온건하게 지지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는 점 등이 비판의 초점이었다.
필자는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은 한반도 평화 구상을 위한 역발상의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부각시키면서도 정의와 사랑의 관계에 대한 니버의 발상에서 ‘회복적 정의’의 모티브를 부각시키고, 이를 정의에 바탕을 둔 평화 개념으로 가다듬어 한반도 평화 구상의 실마리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 글에서 필자는 현실주의적 군사 ・ 정치 전략을 넘어서서 정의에 바탕을 둔 평화 개념에 입각하여 남북과 북미가 상호불신과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평화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고려하여야 할 다섯 단계의 조치들을 개괄하였다. 1) 스테레오 타입화한 적 규정의 폐기, 2) 적대행위의 중지, 3) 대북 봉쇄 정책의 철회, 4) 평화협정과 불가침조약 체결, 5) 동북 아시아 다자간 안보협력 체제의 구축 등이 그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have carried out two tasks. First, I have analyzed Reinhold Niebuhr s realist peace theory and its limits. Second, I have examined critically its relevance for the peace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uggested some points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peace making on it.
I have argued that Reinhold Niebuhr’s realistic peace theory i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pillars: 1) an advocacy of democracy from a realistic understanding of power; 2) a theological criticism of communism which stands contrary to democracy; 3) a realist military-political strategy, and 4) the global leadership of the United States. I have criticized that Niebuhr concept of democracy and his anti-communism was excessively theological, and that his military-political strategy was, of course, realistic, but confined to the myth of modern nationalism and the framework of Westphalia Regime. Even if he advised that the United States’ leadership should be exercised with the virtue of humility and perseverance, so I pointed out, he supported strongly the United States’ pursuit of global hegemony.
I have suggested that Niebuhr s realist military-political strategy is inclin ed to security dilemma, therefore insufficient for a peace making plan for th e Korean peninsula. But I have paid attention to that the motive of ‘remedy justice,’ developed in Niebuhr’s explanation of justice-love-relationship, can be used as a clue to the concept of peace based on justice. I think that such a concept is close to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justice as right relation an d suggestive for a peace making plan.
In the last part of the article I have outlined the following five steps for peace making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1) dismantling the stereotyped enemy definition, 2) suspension of hostilities, 3) abolition of the blockade policy against North Korea, 4) conclusion of peace treaty, norm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of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and non-aggression pact, and 5) establishment of multilateral security and cooperation system in Northeast Asia.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
III. 한반도 평화 구상에서 몇 가지 고려할 점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세 십자군운동과 성전(聖戰)
-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로마 평화정책 (Pax Romana)
- 3 ․ 1운동과 한국교회 : 민족의 운동, 세계의 운동, 시대의 운동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 ― 기독교 평화윤리의 토대 놓기
- 아우구스티누스 (St. Augustinus) 의정당전쟁론
- 19세기 국민국가의 형성과 전쟁 신학 ― 독일을 중심으로
- 한반도 평화와 현실주의 ― 라인홀드 니버의 현실주의적 평화 이론에 대한 재검토에 근거하여
- 지하드 ― 신의 길에서 분투하다
- 코메니우스의 평화신학과 평화교육론
- 평화로 존재하는 그리스도 (Christus als Friede existierend) ―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 이해
- 하나님의 휴전
- 평화통일과 교회의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권두언> 청년과 한국 교회의 미래 - 신학적 소명과 학문적 응답
-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2. 128쪽.
- 예수와 청년들 -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와 청년과의 관계 연구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