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의 사회 영향력 제고를 위한 한국 종교지형 내의 불교지형

이용수 25

영문명
To enhance the social influence of Buddhism Buddhist topography within the Korean religious topography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권진영(Kwon, Jinyoung)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4권, 229~24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종교 지형 중 불교 지형을 살펴보고, 불교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종교의 역사적 전개와 불교 지형을 조사한다. 이는 종교와 종교의 관계 와 종교와 사회(세계)의 관계 가 중심이 될 것이다. 2000년대 한국 종교지형의 주요 특징은 우선 종교 간, 종교와 사회 간의 갈등 이 고조된 점이다. 두 번째로 신자유주의에 의한 종교시장의 양극화,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중 하나인뉴에이지 운동의 상승이다. 2015년 종교인 조사에 따르면 불교 신자는 10년 전보다 310만 명 줄었다. 종교시장과의 통합적 관점에서 보면 감소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으로 편향된 이전 정부들의 정책에 대해 의존적이었고, 따라서 불교 인구 감소현상은 당연한 결과였다. 둘째, 교육, 의학, 언론, 법률 등 세속적인 분야에 대한 불교의 기여는 충분치 못했다. 셋째, 불교는 전통의 틀에 고착되어 세상의 필요와 갈증을 충족시키지 못해 비제도 불교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미래 불교는 우선 불교 내부의 자정능력과 혁신능력이 미래 불교의 주요 동력이 될 것이다. 둘째, 20, 30세대의 대안이 분명히 필요하다. 셋째, 불교교육을 바탕으로 한 불교사상의 확립과 실천, 다양한 시민운동을 통한 사회적 영향력의 강화, 뉴에이지 운동의 긍정적 수용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불교의 미래를 부정적으로만 보는 것은 아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배타적 성격보다는 개방적 다원적 성격의 측면이 강하다. 이러한 불교의 특성은 미래사회의 가장 적합한 종교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또 인간 소외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에서 불교는 치유를 통해영원한 행복을 찾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look at Buddhist topography among Korean religious topography and find ways to enhance the social influence of Buddhism and strengthen its capabilities. Therefore, the research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religion and Buddhist topography. This consideration will be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religion and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the world) . The main features of Korean religious topography in the 2000s are first of all, the rise of conflict between religions and,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Secondly, the polarization of the religious market by neo-liberalism, and last, the rise of the New Age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effects of post-modernism. According to the 2015 religious census, the number of Buddhists decreased by 3.1 million from 10 years ago. In the perspective of the integration with the religion market, causes of the decrease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a dependent variable from the religiously biased political policies from the previous governments which was the natural result. Second, Buddhist contributions to the secular areas in education, medicine, the media, law were unsatisfactory in the moving with the times. Third, I believe that Buddhism as a system religion stuck to the framework of tradition and failed to satisfy the needs and thirst of the world, which led to the shift to faith that is not part of the temple, or non-institutional dissociation. Therefore, for future Buddhism, first, the self-purification ability and innovation ability inside Buddhism will be the main driving force to enhance future Buddhism. Second, an alternative to the 20th and 30th Generation is clearly necessary. Third, the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Buddhist thought based on accurate Buddhist teaching, the strengthening of social influence through the multi-faceted civic movement, and the positive acceptance of the New Age movement are the needed factors. However the future of Buddhism is not all discouraging. Buddhism basically has a strong aspect of open pluralistic character rather than exclusive nature. This characteristics of Buddhism has the potential to be the most suitable religion of future society. In addi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human alienation phenomenon can rise, Buddhism can play a big role in seeking eternal happiness through healing.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종교지형과 불교지형의 형성
3. 현대 한국 종교지형의 특징
4. 현대 한국 불교지형과 불교의 미래를 위한 과제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진영(Kwon, Jinyoung). (2020).불교의 사회 영향력 제고를 위한 한국 종교지형 내의 불교지형. 종교교육학연구, 64 , 229-245

MLA

권진영(Kwon, Jinyoung). "불교의 사회 영향력 제고를 위한 한국 종교지형 내의 불교지형." 종교교육학연구, 64.(2020): 229-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