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5

영문명
The Effect of Job Stres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on Job Capacity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김세진(Kim, Se-jin) 김동주(Kim, Dong-ju)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1권 제2호, 39~6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종사자의 직무역량 강화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재활시설협회에 등록된 직업재활시설 646개소 종사자를 대상으로 2020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약 한 달간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최종적으로 회수된 194부의 설문지를 SPSS 23.0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역량의 차이는 연령, 학력, 결혼 여부, 직위와 역할, 월수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의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의 요인이 직무역량의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요구와 정(+)적 상관, 조직체계와 보상 부적절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직무요구는 정(+)적인 영향, 보상 부적절은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for the effect of job stres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on their job capacity and provide basic materials in seeking measures for strengthening workers job capacity to give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a month from September 1 to 30, 2020, workers in 646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hich are registered in the Korea Association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collectin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collected 194 survey data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Second, job capacity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academic background, marriage, positions and roles and monthly income. Third, job stress factors such as job demands,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s of job capacity; job capac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demand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Fourth,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effect of job stres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on their job capacity showed that job demands and lack of rewar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apacity. It was found that job demand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apacity, while lack of reward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capacity.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given to reinforce the job capac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진(Kim, Se-jin),김동주(Kim, Dong-ju). (2021).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31 (2), 39-61

MLA

김세진(Kim, Se-jin),김동주(Kim, Dong-ju).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31.2(2021): 39-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