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 예술 활성화를 위한 대안공간의 유휴공간 활용과 실제 문화공간 양을 중심으로

이용수 401

영문명
Utilization and Practical Use of Unused and Misused Space in Alternative Spaces for Local Art Activation Focused on the Culture Space Yang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김예늘(Yeneul KIM) 심영옥(Youngok SIM)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79호, 53~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도는 ‘문화예술의 섬’을 추진하며 다수의 박물관 및 미술관을 설립했지만, 대부분 관광객을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주도의 실정에서 대안공간 성격의 문화공간 양은 오롯이 문화공간 양이 속해 있는 거로마을을 중점적으로 마을을 위한 문화예술공간을 운영해가며 지역의 예술 활성화를 실행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의 거로마을을 중심으로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지역 예술 활성화에 힘쓰고 있는 문화공간 양의 운영현황과 프로그램을 분석하며 유휴공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또한, 지역 예술 문화공간 양의 유휴공간 활용 특징을 도출해내고 제주도 내에서 문화공간 양을 비롯한 문화예술 공간이 지역 예술 활성화에 따른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최근 들어 제주도는 유입원이 증가 함에 따라 단순히 관광이나 향유 목적의 예술공간이 아닌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예술공간을 설립하는 등 지역예술 문화 활성에 힘쓰고 있으며, 특히 민간주도 기관에 적합한 지원체제를 마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영문 초록

Jeju Island has established a number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by promoting the Island of Culture and Art, but most of them are made up of spaces for tourists. In this situation of Jeju Island, the Cultural Space Yang in the nature of alternative space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arts of the region by operating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for the village focusing on the village.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and programs of the Cultural Space Yang, which is striving to revitalize local art by utilizing unused and misused space around Georo Village in Jeju Island, to find out how unused and misused space is used. In addition, we inte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used and misused space utilization of local art and the Cultural Space Yang and explore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 including the Cultural Space Yang in Jeju Island. As Jeju Island s inflow sources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Jeju Island needs to establish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for local residents, not just for visitors, and support private-led institutions that strive to revitalize local arts.

목차

I. 서론
Ⅱ. 유휴공간 및 문화공간 양 운영현황
Ⅲ. 지역 예술 문화공간 양의 프로그램 분석
Ⅳ. 지역 예술 문화공간 양의 유휴공간 활용 특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예늘(Yeneul KIM),심영옥(Youngok SIM). (2021).지역 예술 활성화를 위한 대안공간의 유휴공간 활용과 실제 문화공간 양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79), 53-74

MLA

김예늘(Yeneul KIM),심영옥(Youngok SIM). "지역 예술 활성화를 위한 대안공간의 유휴공간 활용과 실제 문화공간 양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79(2021): 5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