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리신화 ‘古典化’ 과정의 사회적 맥락

이용수 50

영문명
The Social Context of the Canonization of the Princess Bari Epic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경하(Lee, Kyungha)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26호, 7~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바리신화가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사회적 맥락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바리데기>가 20세기 후반에 대표적인 한국의 신화로 재평가된 현상은 하나의 텍스트가 한 사회의 가치 있는 고전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것은 바리신화에 내재한 어떠한 요소가 특정한 사회적․문화적 배경 속에서 가치 있는 것으로 재발견되고 재해석되는 과정이었다. 바리신화의 고전화 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요약된다. 첫째, 1960~70년대에 전통과 민중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속에서 무가와 같은 구비문학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둘째, 1980~90년대에 강하게 불었던 페미니즘의 열기 속에서, 바리신화를 재해석하는 시도가 학계와 예술계에서 동시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여주인공이 가부장적 사회의 억압된 존재를 상징한다는 점, 무가치하다고 버려진 딸이 병든 사회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로 그려진다는 점, 그리고 굿과 무가라는 여성 젠더화된 문화형식. 이러한 바리신화의 내적 요소들이 페미니즘과 만나면서 적극적으로 재독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바리신화가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는데, 이는 바리신화의 고전적 가치에 대한 인정인 동시에 고전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바리신화가 출판물, 공연물, 영상물 등으로 활발하게 재창작되고 있는 배경으로서 21세기 문화콘텐츠 산업의 흥기를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Princess Bari epic came to be regarded as a canonical epic text representative of Korea. The way in which this shamanistic epic was reexamined to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myths of Korea aptly illustrates how a text is established as a canonical work within society. This process involves the rediscover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certain elements of the text within the give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canonization process of the Princess Bari myth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The first phase, dating to the 1960~70s, witnessed the intensive study of oral literature and shamanistic epics amidst the widening social interest in traditional folk culture. In the second phase, dating to the 1980~90s, active attempts to reinterpret the Princess Bari myth took place within both the academic and arts communities, particularly amidst a heated interest in feminism. The fact that the heroine is an oppressed being within a patriarchical society, the fact that it is a worthless and abandoned daughter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only being that can heal an unwell society, and the fact that gut rituals and shamanistic epics are female gendered cultural forms all came to be actively reconsidered and imbued with meaning as a result of the feminist influence. In the third phase, the Princess Bari myth came to be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tandard. This was due to the spread of feminism within society, as well as the result of the academic community s continued research into the literary traditions of Korea. The inclusion of the Princess Bari myth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was an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the myth as a canonical text, as well as an event which acted to reproduce its importance as such a classic. Final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Princess Bari myth has come to be widely consumed by the public following its active representation in various forms, such as publishing, theatre and film, following the flourishing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목차

1. 바리신화는 어떻게 ‘고전’이 되었나?
2. 고전으로서의 가치 재발견 과정
3. 고전으로서의 위상 강화 배경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하(Lee, Kyungha). (2012).바리신화 ‘古典化’ 과정의 사회적 맥락. 국문학연구, (26), 7-31

MLA

이경하(Lee, Kyungha). "바리신화 ‘古典化’ 과정의 사회적 맥락." 국문학연구, .26(2012): 7-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