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漢詩 형성 과정 고찰

이용수 29

영문명
A study on formation of Sino-Korean poetry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김은정(Eun-Jeong Kim)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0호, 7~3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상고시대 노래는 공통적으로 4언4구의 漢譯詩로 존재한다. 이 시형은 詩經體의 영향과 우리 민요의 기본형을 반영한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이른 시기에 자국 노래와 타국 노래를 구분하는 태도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치원 이전의 抒情漢詩는 주로 중국에서 활동한 승려들에 의해 창작되었고, 국내에서는 目的性을 지닌 漢詩만이 창작될 뿐이었다. 그런데 국외 창작 서정한시뿐만 아니라, 국내 창작 목적한시 역시 주제구현에 충실하다는 점에서 문학적인 완성도가 높다. 또한 慧超의 『往五天竺國傳』 삽입시가 신라를 떠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창작되었다는 사실로서, 국내에 한시 양식이 수용된 이후 상당한 한시 창작 역량이 축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시가 오래도록 서정양식으로서 국내에서 향유되지 못하였던 이유는 鄕歌로 대표되는 국내시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한시와 향가는 서정양식으로서 서로 배타적인 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한시가 서정양식으로 향유되기 위해서는 중국에서만 통용되는 요소, 즉 중국의 음률적 요소가 제거되어야만 하였다. 즉, 노래로 불리는 聲詩가 아닌, 가창의 요소를 제거한 徒詩의 성립을 기다려야만 한 것이다. 그리고 宋代에 詞 양식의 등장과 더불어 가창성이 탈각된 徒詩로서의 한시가 성립된다. 漢詩에 가창의 요소가 있는 한,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타국의 노래로 인식하였으며, 서정양식으로서의 한시가 정착하는데 큰 장애로 작용하였다. 韓國漢詩가 說理的인 宋詩의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나, 송시가 여전히 聲詩였다면 한국한시 형성은 훨씬 후대로 미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徒詩이면서 說理的인 송시야말로 주제구현적 한시를 창작하였던 우리나라 시인들이 서정양식으로서 체화하기에 적절하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e old Korean songs are handed down by translation in classical chinese, and they have 4 lines of verse that is composed of 4 chinese letters each line. These form of verse reflected the form of old Korean folk songs, because ancient men distinguished between own songs and chinese songs. So chinese poems as lyrical verse were wrote by nuns who lived in China, otherwise chinese poems written in domestic had diplomatic purposes. The statute for chinese poetry was already accepted in ancient Korea. But chinese poetry wasn’t enjoyed as lyrical verse, because Hyang-ga(鄕歌) which was a traditional poetry of silla(新羅). Hyang-ga were competing and exclusive relationship with chinese poetry. Meanwhile, for though chinese poetry had different content and form each period, most poetry was always Sung-si(聲詩) which chanted by song. But as requisite for song was cast off in Sung(宋) dynasty, chinese poetry became Do-si(徒詩) without requisite for song. And Sino-Korean poetry was formated in this time, because chinese poetry was not chinese song any more.

목차

1. 서론
2. 上古의 漢譯詩
3. 崔致遠 이전의 漢詩
4. 抒情 양식으로서의 韓國漢詩 형성 요건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Eun-Jeong Kim). (2014).韓國漢詩 형성 과정 고찰. 국문학연구, (30), 7-38

MLA

김은정(Eun-Jeong Kim). "韓國漢詩 형성 과정 고찰." 국문학연구, .30(2014): 7-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