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트릭스터의 역사적 기능

이용수 65

영문명
The Historical Function of the Trickster: A Study of the Clever Servant Tale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La Shure Charles Charles La Shure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0호, 89~11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트릭스터라는 인물과 그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트릭스터담의 역사적인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특히 사회체제가 지지하는 도덕적·윤리적 가치관에 어긋난 경우에는 얼핏 보면 부정적인 이야기가 왜 계속해서 계승이 되었느냐는 물음에 답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갓셜이 <스토리텔링 애니멀>에서 서사가 도덕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장에 대한 반응이며 트릭스터담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추구하려는 모색이기도 하다. 먼저 트릭스터의 이중적인 성격과 씨름한 서양 학자들의 의견을 간략히 소개한 후에 경계성을 트릭스터의 기본적인 특징을 삼았다. 이어서 트릭스터의 실용성을 살펴보았는데 도덕적인 가치관을 강화함으로써 사회체제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지 않는다면 어떤 진화론적인 실용성이 있을까 하는 질문을 다루었다. 북미원주민 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와 스칸디나비아 신화에서 등장하는 트릭스터 신을 예로 들었는데 주 연구 대상은 한국의 상전을 속이는 꾀쟁이 하인이었다. 이 설화는 반상갈등을 다룬 이야기로 볼 수도 있지만 상전 이외에도 하인이 여자나 불쌍한 행인과 같이 지위가 낮은 사람들까지 속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볼 때 트릭스터는 하층 영웅으로서 상층에 대해 반항하는 인물이 아니라 사회구조 전체를 무너뜨리려는 경계적인 인물로 파악된다. 이는 새로운 세상을 창조하려면 먼저 기존 세상을 없애야 가능하다는 인식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비설화와 같은 주제나 인물을 다루는 기록문학을 간략히 살펴보았는데 저자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라서 트릭스터가 다르게 형상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았다. 결국 꾀쟁인 하인과 같이 구비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는 반사회구조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창조의 길잡이라는 역사적 기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function of the trickster figure and the tales in which he appears. In particular, it attempted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seemingly negative tales were continuously handed down when they ran afoul of the ethical and moral value systems supported by the social order. It was in part a reaction to Jonathan Gotschall’s claim in The Storytelling Animal that narrative plays a morally supportive role, and in part an attempt to com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rickster tale. I first discussed scholarly opinions in the West on the trickster’s dual or ambiguous nature and then introduced the concept of liminality as the trickster’s defining feature. This was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trickster’s practicality, an examination that dealt with the question of what sort of evolutionary practicality could trickster tales have if they did not reinforce moral values and thereby also reinforce the social order. Native American tricksters and the Scandinavian trickster deity Loki were offered as examples, but the main focus of the discussion was the Korean tale of the clever servant who deceived his master. This tale can be seen as one that deals with class conflict, but there are other victim’s of the servant’s wiles besides the master: lower-class characters such as a common woman and a passerby down on his luck. This shows that the trickster here is not a lower-class hero who defies his upper-class master, but a liminal figure who seeks to bring down the entire social structure. This desire is an expression of the understanding that it is only possible to create a new world once the old world has been torn down. Finally, I also examined in brief some recorded tales and a novel that deal with the same themes and characters, showing how the trickster may be imag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uthor’s social values. Ultimately, the strong opposition to the social structure seen in tricksters in oral tales like that of the clever servant is a result of the historical function they play as pathfinders to the creation of a new world.

목차

1. 들어가면서
2.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 트릭스터의 역설
3. 트릭스터의 실용성
4. 역사적으로 본 트릭스터
5.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La Shure Charles,Charles La Shure. (2014).트릭스터의 역사적 기능. 국문학연구, (30), 89-112

MLA

La Shure Charles,Charles La Shure. "트릭스터의 역사적 기능." 국문학연구, .30(2014): 8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