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楮子島의 문화사

이용수 55

영문명
A Cultural History about JeoJa-Island during Late Choson Period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종묵(Lee, Jongmook)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0호, 229~26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楮子島는 고려 말 韓宗愈의 별서가 있어 故事가 되었고 조선 초기 貞懿公主가 세종으로부터 하사받아 부마 安孟聃의 소유가 되면서 그림으로도 그려졌다. 이후 많은 문인들이 이곳의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한 바 있거니와 16세기 후반 崔慶昌, 白光勳 등 최고의 시인들이 이웃한 奉恩寺를 오가면서 수많은 시를 지은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17세기를 전후한 시기 具容과 許淮 등의 별서가 있어 李安訥, 權韠 등 한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이 노닐었고, 이를 이어 金昌翕과 許格 등이 별서를 두면서 저자도는 한강의 가장 이름난 명소가 되었다. 그런데 우리 문화사에서 이렇게 중요한 공간인 저자도의 위치를 두고, 여러 연구서와 사전 등에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곳에 생성된 모래톱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저자도는 오늘날 삼성동에 있었고 그곳에 舞童巖이라는 바위가 있어 17세기 무렵까지는 舞童島라고도 불렸다. 18세기 무렵 저자도는 무동도와 분리되어 인식되었으며 이때의 무동도는 잠실섬의 일부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그러다가 19세기 후반 무렵 저자도가 뚝섬 앞쪽의 섬으로 기록된 지도가 나타났고 근대의 기억 역시 대부분 그러하다. 또 20세기 초반의 지도에는 무동도가 삼성동에 있던 원래의 저자도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영문 초록

JeoJaDo (JeoJa-Island) is known for some songs or poems written by literatis. Besides, it is famous that best poets including Choi Kyong Chang and Baek Kwang Hoon wrote plenty of poems about JeoJa-Do as they often visited BongEunsa (Bong Eun Temple) which is just near JeoJa–Do in 16th century. Especially in 17th century, poets including Koo Yong and Heo Hwae had their beautiful villas there so that lots of poets including Lee An Nool and Kwon Pil enjoyed visiting there. Later, Kim Chang Hup and Heo Gyuk had villas there and JeoJa–Do became one of the famous attraction in vicinity of HanGang (Han River). By the way, MoRaeTop where JungRangChon (JungRang River) and Han – Gang meet is described as the location of Jeo Ja – Do in some studies and dictionaries. Until 17th century, Jeo Ja – Do was located in Sam Sung Dong and known as Moo Dong - Do (Moo Dong – Island) since there was a rock called Moo Dong - Do (Moo Dong – Rock) according to literature written in Cho Sun dynasty. Around 18th century, people recognized Jeo Ja – Do and Moo Dong – Do as difference places, considering Mu Dong – Do as some part of Jam Sil. Then, a map that showed Jeo Ja – Do located in front of Ddook island appeared in 19th century and that was similar to how people in modern times think where Jeo Ja – Do is. In early 20th century, Mu Dong – Do referred to the area where Jeo Ja – Do in Sam Sung Dong was located in prior period.

목차

1. 서론
2. 具容과 許淮의 別墅
3. 李景奭의 글로 남은 風月亭
4. 金昌翕의 玄城別墅
5. 楮子島의 後事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묵(Lee, Jongmook). (2014).조선 후기 楮子島의 문화사. 국문학연구, (30), 229-264

MLA

이종묵(Lee, Jongmook). "조선 후기 楮子島의 문화사." 국문학연구, .30(2014): 229-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