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10년대 <춘향전> 개작본에 나타난 전환기적 특성

이용수 13

영문명
A Study on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Adapted Chunhyangjeon in 1910s: Focusing on comparisons between Lee, Hae-jo, Choi, Nam-seon, and Park, Geon-hoe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주영(JooYoung Lee)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3호, 33~5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10년대 초반에 본격적으로 나타난 구활자본 고전소설은 새로운 매체와 전통 콘텐츠가 결합한 결과물로서 다양한 변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고전소설 <춘향전>을 개작한 이해조 최남선 박건회의 개작본을 비교하면 그런 변이의 구체적인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이해조는 가족주의라는 전통적 정서를 신매체에 담았으며, 최남선은 옛책을 닮은 정본(正本)을 지향한다면서도 새로운 내용을 포함시켰다. 박건회는 다양한 문화를 책에 반영하려 하였지만 전래의 문화에 더 비중을 두었다. 이러한 차이는 개작자들이 매체와 콘텐츠를 결합하면서 양자의 비중을 다르게 인식함으로써 생겨난 것이다. 결국, 이전 시대의 문화에 대한 기억을 출판행위라는 실천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과거에 대한 태도와 문화의 연속성에 대한 인식이 어떤가에 따라 서로 다른 출판물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개작본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 차이는 그러한 변이에 대한 대중의 선호도가 반영된 결과이다.

영문 초록

Printed classical novels appearing in the early 1910s showed diverse variations as the result of combining new media and traditional contents. Comparing the adapted versions of a representative classic novel, Chunhyangjeon by Lee Hae-jo, Choi Nam-seon, and Park Geon-hoe, concrete scenes of such variations can be found. Lee Hae-jo filled his adapted version with traditional emotion of familism in a new medium, and Choi Nam-seon included new content in his version while he insisted on seeking for the original copy similar to the aboriginal version. And Park Geon-hoe tried to reflect various cultures on his book but he failed to liquidate hereditary Sino-Korean culture. This difference came from adapters’ distinctive perceptions on the weights of both the medium and the content when they combined them. Eventually, it can be said that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memory of the culture in the previous era to a practice of publication act, different publicationswere yielded according to what their attitudes of the past and perceptions of cultural continuance were like. Readers’ responding difference to the adapted versions was the outcome of reflecting public preference towards such variations.

목차

1. 서론
2. 개작본별 특징 비교
3. 개작 방향이 의미하는 전환기적 사유 특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영(JooYoung Lee). (2016).1910년대 <춘향전> 개작본에 나타난 전환기적 특성. 국문학연구, (33), 33-54

MLA

이주영(JooYoung Lee). "1910년대 <춘향전> 개작본에 나타난 전환기적 특성." 국문학연구, .33(2016): 3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