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차기 교육과정을 대비한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의 구조화

이용수 426

영문명
Structuralization of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Subject Group) in Preparation for the Next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유난숙(Yu, Nan Sook) 백민경(Baek, Min Kyung) 주수언(Ju, Sueun) 한주(Han, Ju) 박미정(Park, Mi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3권 제1호, 129~14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가정 관련 전공 개설 현황과 중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 요구되는 변화를 분야별로 살펴보고, 차기 고등학교교육과정에서 편성할 수 있는 가정교과(군)의 선택과목을 구조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자료를 분석하고,가정교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FG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는 자연계열의 생활과학영역뿐만 아니라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등과 연관성이 높았다. 2019학년도 가정교과와 관련된 학과수는전문대학교 1,405개, 4년제 대학교 961개였으며, 총 입학생수를 기준으로 가정교과 관련 학과 입학생수는 전문대학교는 약12%, 4년제 대학교는 약 7.3%를 차지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을 개설할 기반이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등학교가정과교육과정에서는 분야별로 달라진 식⋅의⋅주⋅가족⋅소비생활 패턴과 삶의 가치관에 따라 문화, 관계, 자립, 지속가능성등의 개념을 강조하였으며, 단순 지식적인 측면의 내용은 줄이고, 깊이 있고 고차원적인 사고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가정교과 내용이 구성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요구는 가정교과(군)의 선택과목을 다양화, 전문화하여 구조화함으로써 반영할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을 아동⋅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가정관리, 가정교과 통합분야에서 총 18개의 선택과목명과 과목 개요를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가정과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제공하고, 고등학생들에게 가정교과(군)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home economics-related departments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he changes required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s, and to structurethe elective courses of home economics subject(group) that can be organized in the next high school curriculum. To achievethese purposes, related literature and data were analyz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FGI were conducted by home economicsexper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me economics was considered to be highly related not only to the humanecology but also to social sciences, education, engineering,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numbers of technical collegesand 4-year universities with departments related to home economics were 1,405 and 961 respectively in 2019. Therefore, it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ufficient basis for opening home economics subject(group)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Second,in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concepts of culture, relations, independence, and sustainability wereemphasized based on the changing life patterns and values. It was proposed that the contents of the home economics coursewould be structured in a way that allows deep and high-level thinking and helps students to enjoy culture. This demand canbe implemented by diversifying, specializing, and structuring the elective courses of the home economics subject(group). Third,a total of 18 elective subjects and subject outlines were structured in the fields of child/family, food/nutrition, clothing, housing,consumption/family management, and home economics integration. This study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organizing the next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expandingthe options for home economics subject(group) to high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가정교과 선택과목에 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난숙(Yu, Nan Sook),백민경(Baek, Min Kyung),주수언(Ju, Sueun),한주(Han, Ju),박미정(Park, Mi Jeong). (2021).차기 교육과정을 대비한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의 구조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3 (1), 129-149

MLA

유난숙(Yu, Nan Sook),백민경(Baek, Min Kyung),주수언(Ju, Sueun),한주(Han, Ju),박미정(Park, Mi Jeong). "차기 교육과정을 대비한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의 구조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3.1(2021): 129-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