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작품에 나타난 공동체

이용수 130

영문명
The Community Appearing in Pansori Works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정충권(Jeong, Choong-Kwon)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60집, 2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판소리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반영된 당시 향촌공동체의 모습과 공동체 문제 인식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 글이다. 이를 위해 판소리 작품 속 주변 인물형상 및 주인공을 포함하여 이들을 바라보는 작자의 시선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생활/경제공동체, 정서공동체, 의식공동체로서의 모습이 그려져 있었으며, 당연하리라 여겨질지 모르겠으나, 이를 통해 볼 때 판소리 작자들이 그려낸 향촌공동체는 구성원들이 일상을 공유하며 정서/의식적 연대를 보이는 전통적 의미의 그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공동체 차원의, 특정 가치의 배제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작품 속에는 공동체 차원에서 긍정적 유대감을 공유할 수도 없고 배제나 축출을 통해서도 해결하기 어려웠던, 당시 향촌공동체 문제들에 대한 인식도 반영되어 있었다. 빈민, 장애인 문제 등 공동체 내부의 난제는 늘상 있었을 터였고, 거기에다 점차 늘어났으리라 여겨지는, 공유 경제와 어긋나는 개인적 가치를 추구하는 구성원들의 등장도 문제였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당대에는 점차 개인의 ‘개체’로서의 목소리도 존중함으로써 더 유연한 공동체 형상을 고려해야 했을 듯한데 이러한 인식도 판소리 작품 속에 나타나 있다고 보았다. 엄밀히 말해서 판소리는 그 구연자와 향유층이 동일한, 그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공동체적 장르는 아니다. 그래서 작품 속으로 들어가 인물 형상 및 그 서술 시선에 주목해 볼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판소리 작품에서는 전통적 공동체를 중요시하면서도 변화하는 세태를 고려한 공동체의 제반 문제에 대해 그 나름대로의 관점을 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ppearance of the village community at the time reflected in Pansori works and the issues of the community perceived by Pansori writers. Thus, in, this study tried analyzing the writer s gaze toward Pansori works, including the shape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and the protagonist. As a result, a life/economic community, an emotional community, and even a consciousness community appear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mmunity that the Pansori writers had in mind was a community in the traditional sense where members shared their lives and showed emotional and conscious solidarity. Excluding specific individuals could also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at.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Pansori writers reflect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s of the village community at that time, which was difficult to solve with the method of exclusion alone. There will always have been issues of poverty within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emergence of individuals aiming for a specific economic value would have also been a problem. In this regard, more and more flexible internal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should have been considered by respecting the individual s voice. This perception was also seen in the work of Pansori. Strictly speaking, Pansori is not a communal genre in the true sense of having oral narrators and a beneficiary audience. However, when exploring the works and paying attention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s and the descriptive gaze, it can be seen that Pansori writers are showing their own perspectives on all community issues: they are considering the changing world while placing importance on the traditional community.

목차

1. 머리말
2. 판소리 작품 속의 주변 인물들
3. 판소리 작품에 나타난 향촌공동체의 양상
4. 판소리 작품에 나타난 향촌공동체 문제 인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충권(Jeong, Choong-Kwon). (2021).판소리 작품에 나타난 공동체. 구비문학연구, 60 , 21-43

MLA

정충권(Jeong, Choong-Kwon). "판소리 작품에 나타난 공동체." 구비문학연구, 60.(2021): 2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